부산·울산·경남 단체장들이 김해신공항에 대해 동남권 관문공항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사실상 ‘가덕도 신공항’ 추진에 나선 가운데 김해신공항과 가덕도를 관할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산 서구청장이 이에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지역은 물론 민주당 내부에서도 이견이 제기됨에 따라 향후 부·울·경의 가덕도 신공항 추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노기태(사진) 부산 강서구청장은 5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가덕도 신공항은 동남권 관문 공항의 역할은커녕 부산시민들에게도 불편을 줄 것”이라며 “대구·경북은 물론 경남과 울산지역에서도 외면받는 지역공항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 구청장은 “가덕도에 공항을 건설하면 대구·경북·울산 등에서는 2시간 내지 2시간30분이 걸리고 부산 해운대에서도 1시간 30분이나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건설에 20년 이상 소요될 가덕도 신공항을 염두에 두고 김해신공항을 부정하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겁한 행동”이라며 “부·울·경 단체장들과의 공개토론회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노 구청장은 2016년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 등을 자신의 주장 근거로 제시했다. 당시 ADPi 평가결과 건설비용은 김해신공항의 경우 4조4000억원, 밀양은 6조1000억원, 가덕도는 10조70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
노 구청장은 “김해신공항 부정의 근거가 된 부·울·경 관문공항 검증단 발표는 오류와 거짓투성이”라며 “신공항 문제는 지자체(부산시)와 정부(국토부)가 협의하고 추진해야 하는데 총리실에 이관하라고 하는 것은 독재정권 시대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기업 CEO 출신으로 국회의원과 시 정무부시장, 부산상공회의소 부회장, 부산항만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노 구청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오거돈 부산시장의 경남고 선배다.
앞서 부산시는 지난 2일 김해신공항의 전면 중단을 촉구하는 공문을 국토부에 발송했다. 시는 공문에서 “800만 부·울·경 지역민의 염원을 일방적으로 무시하는 국토부의 ‘불통 행정’에 유감을 표시한다”면서 “부·울·경과 연대해 김해신공항 고시 절차 중단을 촉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의 이 같은 입장 발표는 국토부가 지난달 30일 김해공항 확장안 고시를 위한 관련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의 공문을 보낸 데 대한 반박이다. 부·울·경 지역에서 김해신공항 중단을 요구함에 따라 당초 지난해 말까지로 예정됐던 국토부의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안 확정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