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어가(漁家)의 평균소득이 2013년부터 매년 증가하면서 2018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50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 2018년 어가 소득은 5184만원으로 조사됐다. 어가 소득은 2013년 3859만원이었다가 2014년 4101만원, 2015년 4389만원, 2016년 4708만원, 2017년 4902만원으로 꾸준히 늘었다. 어가소득을 구성하는 소득종류별 비중은 어업소득이 49.5%, 제조업·도소매업 등 어업외 소득이 26.1%, 보조금과 공적연금 등을 포함한 이전소득이 19.7%, 비경상소득이 4.7% 순이었다.
어업형태별로는 양식어가의 어가소득이 7941만원으로 어로어가의 4172만원에 비해 1.9배 높았다. 전년과 비교하면 양식어가 소득은 2.5% 증가했고, 어로어가 소득은 7.8% 증가했다. 지난해 어류 소비 감소 및 패류 양식환경 악화(태풍 고·저수온)로 양식어업 생산량과 생산액이 다소 준 반면 어황 여건 양호로 어획량이 크게 늘어 연근해어업 생산량과 생산액이 증가한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연령별로는 40대 이하 경영주의 어가소득이 1억35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어가자산은 50대 경영주가 5억74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 어가소득을 전년과 비교하면 50대 이하는 감소한 반면 60대 이상은 증가했다.
전남지역의 수산물 생산량은 전국 생산량의 56%, 생산액의 38%를 차지해 전국 어가 평균 소득 증가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도가 실시한 2018년 고소득 어업인 조사에서 1억원 이상 고소득 어가는 2413어가에 달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