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일 우리 사회 각 분야를 대표하는 원로 12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갖고 향후 국정운영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오는 10일 문 대통령 취임 2주년을 앞두고 주요 국정현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것이다. 선거제와 사법제도 개혁법안 패스트트랙 지정을 둘러싼 여야 대치를 비롯해 남북관계·노동·사회분야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을 끌었다. 지금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자유한국당 해산 청원을 둘러싸고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을 청와대가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이 자리에는 이홍구 전 국무총리,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 윤여준 전 환경부장관,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김영란·김지형 전 대법관, 김우식 국민안전안심위원회 위원장, 송호근 포항공대 석좌교수, 안병욱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정해구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 조한혜정 연세대 명예교수 등이 참석했다. 진보와 보수진영에서 우리 사회를 대표하는 원로들이다.
원로들은 문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동안의 국정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앞으로 국정운영을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은 진보와 보수 가릴 것 없이 차이가 없었다. 특히 원로들이 야당과의 협치, 탕평과 국민통합을 강조한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일본과의 관계개선, 경제정책 전환, 탈원전 탈피 등을 주문한 것도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이 허심탄회하게 각계의 의견을 듣고 소통을 강화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야당과의 협치와 관련, 적폐청산을 한 다음에나 하겠다는 식으로 발언한 것은 유감이다. 적폐청산과 관계없이 당장 협치에 나서도 부족할 판이다.
이런 간담회들이 각자 할 얘기만 하거나 보여주기식 이벤트에 그쳐선 안 된다. 원로들의 고견과 충고를 국정운영에 반영해야 한다. 문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이제는 진보와 보수, 이런 낡은 프레임, 낡은 이분법은 통하지 않는 세상”이라며 “상식, 실용, 이런 선에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국정운영에 이 말이 어떻게 실현될 지 국민들은 지켜볼 것이다.
[사설] 원로들의 고언 국정운영에 반영하길
입력 2019-05-03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