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공식 건의

입력 2019-05-02 19:14
부마민주항쟁 당시 부산시청 앞 계엄군의 모습. 뉴시스

경남도가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범국민추진위’ 상임공동추진위원장인 김경수 경남지사는 2일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열린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대회’에 참석해 부마민주항쟁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거듭 촉구했다.

이날 대회는 지난해 10월 범국민추진위 출범 이후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해 모은 60만명의 국민 서명을 공개함과 동시에 행정안전부에 국가기념일 지정을 공식적으로 건의하기 위한 자리다. 행사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오거돈 부산시장과 허성무 창원시장, 송기인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 여영국 국회의원, 김지수 경상남도의회 의장, 부마민주항쟁의 주역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대회를 통해 도와 창원시, 부산시,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부산국제영화제는 부마항쟁 정신계승을 위한 업무 협약도 체결했다. 5개 기관은 부마민주항쟁 기념을 위한 각종 사업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으며, 특히 올해는 부산국제영화제에 처음으로 부마민주항쟁 섹션(가칭)을 구성해 부마민주항쟁을 널리 알릴 예정이다.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은 국가기념일 지정 서명운동을 통해 60만명의 뜻을 모았다. 부산과 경남 뿐만 아니라 서울과 광주, 제주 등 전국에서 시민들이 동참했으며 해외 동포들도 온라인 서명을 통해 힘을 보탰다.

오 시장은 건의문을 통해 “부마민주항쟁의 정신은 5월 광주민주항쟁과 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이어졌고 마침내 위대한 촛불혁명으로 계승됐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도 “자랑스러운 역사를 우리 아이들에게도 가르쳐 주고 함께해 나가야 한다”며 “부마민주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온 국민의 관심 속에 40주년 기념행사가 치러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 이사장은 “서명운동에 동참한 국민의 성원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부마민주항쟁의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이 제대로 이뤄질 때까지 관심과 힘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과 마산 등에서 유신 체제에 항거해 일어난 민주화운동으로 유신 체제를 몰아낸 최대의 시민 항쟁으로 평가되면서도 아직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지 않았다. 2013년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국회에서 통과됐지만 국가기념일 지정은 누락됐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