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이야말로 행동으로 화답하라

입력 2019-05-01 04:03
문재인 대통령의 제4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 제의에 대해 북한은 여전히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현안이 있을 때 시간과 장소,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만나자고 했던 남북 두 정상의 합의가 무색하다. 두 정상이 만나서 논의할 현안이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3차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게 진심이라면 두 정상이 4·11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북·미 대화의 불씨를 살릴 방안을 서둘러 논의하는 게 옳다. 문 대통령과의 만남을 주저할 까닭이 없다.

북한의 최근 움직임이 우리와 국제사회의 바람과는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어 걱정스럽다. 러시아를 끌어들여 냉전시대의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를 만들려는 북한의 전략은 결코 비핵화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없다. 문제를 꼬이게 할 뿐이다. 더욱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정상회담과 교류를 통해 어렵게 조성한 상호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북한의 고립을 자초하고 있다. 북한의 비협조로 4·27 판문점선언 1주년 기념행사는 남쪽만의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 남북 합의사항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자유왕래 역시 북측의 무반응으로 1일부터 남측 관할 지역에서만 재개된다.

북한의 합의 불이행은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다. 지난해 9월 평양 공동선언에서 확인한 김 위원장 서울 답방과 금강산 지역 이산가족 상설면회소 개소가 대표적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북한은 남북 관계 개선을 바란다면 자신들과 보조를 맞추고 말이 아닌 행동으로 화답해야 한다고 적반하장의 주장을 펴고 있다. 북한 대외 선전매체 메아리는 30일 ‘보조를 맞추며 진심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제목의 글에서 “남조선 당국이 말로만 평화와 관계 개선을 떠들면서 북남 관계가 저절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면 그것은 오산”이라고 강변했다. 그러면서 “종잇장도 맞들면 가볍다고 북남 관계도 어느 일방의 노력만으로는 개선될 수 없으며 북과 남이 공동으로 노력해야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우리가 북측에 들려주고 싶은 말이 이 말이다. 기왕에 합의된 사항마저 이행하지 않으면서 남북 관계 교착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정작 행동으로 화답해야 할 쪽은 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