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이 CJ올리브네트웍스 올리브영 부문과 IT부문 법인을 분리하고 IT부문을 자회사로 편입했다. 이 과정에서 이재현(사진) CJ그룹 회장의 장남 이선호 CJ제일제당 부장이 CJ주식회사 지분 2.8%를 갖게 돼 이 회장이 경영권 승계 작업에 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CJ그룹은 29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기업분할과 주식교환 관련 보고 및 승인을 마쳤다고 밝혔다. 기업분할은 인적분할로 진행되며 분할비율은 IT부문 45%, 올리브영 부문 55%다. IT부문은 CJ주식회사와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CJ의 100% 자회사로 편입된다. 주식교환 비율은 1대 0.5444487이다. 주주가치를 고려해 신주가 아닌 자사주를 배분한다. 기존 CJ올리브네트웍스 자회사인 CJ파워캐스트는 IT부문 100% 자회사로 편입된다. IT부문과 CJ파워캐스트의 지난해 매출액은 7070억원, 영업이익은 470억원 규모다.
재계에서는 이 회장이 경영권 승계 작업에 나섰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이 회장 장남 이선호 부장이 자신의 CJ올리브네트웍스 지분을 내주면서 CJ주식회사 주식을 받게 돼서다. 현재 CJ올리브네트웍스 지분은 CJ주식회사가 55.01%, 이선호 부장이 17.97%, 이 회장의 딸 이경후 CJ ENM 상무가 6.91% 보유하고 있다. 이번 분할을 통해 이선호 부장과 이경후 상무는 각각 CJ주식회사 지분 2.8%, 1.2%를 갖게 된다. CJ그룹 관계자는 “이번 분할과 합병 과정에서 이선호 부장이 확보하는 지분은 2.8%에 불과해, 경영권 승계를 이야기할 만한 수준은 못 된다”며 “경영권 승계보다는 IT사업 육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수적인 현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