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윤리학회(회장 조용훈)가 오늘의 경제 현실을 바라보는 신학선언문을 발표하고 “한국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혜택이 미치도록 경제적 공공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학선언은 지난 27일 대전 한남대에서 열린 정기학술대회 마지막 순서에서 도출됐다(사진).
학회는 신학선언에서 “한국 경제의 심각한 문제는 노동을 통한 정당한 부의 획득보다 부동산 투기와 탈세를 통한 부의 축적을 권장하고 부당한 수단을 동원해 획득한 부도 정당화하는 도덕적 타락이 사회 전반에 만연한 것”이라며 “특히 노년층과 청년층이 이러한 불의한 현실에서 가장 큰 고통을 받고 있으며, 비정규직과 일용직 노동자들은 사회적 소외와 배제의 상실감 속에서 미래의 삶마저 빼앗기고 있다”고 진단했다.
신학선언은 정부를 향해 “기본소득 정책과 청년수당지원 정책, 비정규직 차별 철폐 및 법적 감시 강화, 양성평등적 임금체계 등을 법제화하고 정책에 반영하라”고 구체적으로 요구했다.
교회를 향해서는 “한국사회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공유경제’ 및 ‘사회적 경제’ 운동에 적극 참여해 신학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예언자적 중재자로서 공적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며 “한국교회가 먼저 불의한 경제와 단호히 결별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교회의 ‘불의한 경제’란 부동산을 통한 자산 축적, 교세의 경쟁적 확장을 위한 무리한 헌금 등이다.
선언문은 “(교회는) 이 같은 행위를 멈추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나누는 선한 행실을 통해 차별과 배제의 경제를 넘어 믿음 소망 사랑의 경제를 실천하는 대안적 생존공동체를 이루라”고 강조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