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손을 잡았다. 지자체간 갈등으로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던 낙동강 물 문제가 정부의 중재로 해결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환경부와 국무조정실, 문화재청, 대구시, 울산시, 경북도, 구미시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낙동강 물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이번 협약은 낙동강을 둘러싼 지자체들의 오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대구시와 구미시는 2009년부터 취수원 이전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대구시는 낙동강 오염 사태 원인 대부분이 구미공단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 쪽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구미시는 낙동강 수질 악화와 수량 부족, 재산권 침해 등의 이유로 이를 반대해왔다.
최근엔 대구 수돗물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사태가 발생해 두 도시간 갈등이 더욱 고조됐다. 여기에 울산시가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식수원 해결을 위해 경북 청도군 운문댐 물을 공동 사용하자는 주장을 펼치며 낙동강 물 갈등에 가세했다.
이에 이 총리가 지난해 10월 대구시장, 울산시장, 경북지사, 구미시장과 면담을 가지고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기로 합의했고 그 후속 조치로 이번 협약이 성사됐다.
협약에 참가한 정부와 지자체들은 ‘구미산업단지 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이라는 2건의 연구용역을 통해 낙동강으로 폐수처리수가 배출되지 않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기로 협약했다. 또 낙동강 유역에 대한 최적의 물이용 체계를 마련하고 반구대 암각화를 보존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
환경부 등 연구용역 추진 주체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과정에서 관련 지자체 등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연구에 반영할 방침이다. 정부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말까지 종합적인 낙동강 물 문제 해소방안을 마련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물관리기본법 시행에 따라 올해 하반기 출범하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이번 연구결과를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정부 및 다른 지자체들과 긴밀하게 협조해 낙동강 물 문제에 대한 공정하고 투명한 해결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