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곤충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2014년 68가구에 불과했던 도내 곤충 사육농가가 지난해는 427가구로 6배나 늘어났고 곤충 판매 역시 2014년 5억원에서 지난해는 50억원으로 10배 이상 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국내 곤충시장 규모는 2015년 3039억원에서 2020년에는 5363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곤충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은 경북 곤충산업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식약용 곤충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사료용 곤충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고, 노동집약적 생산체계에서 스마트팜 체계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성주군에서 사료용 곤충 ‘동애등에’를 사육하는 농업회사법인 에코팜 이준호 대표는 “반려동물 사료제조업체와 양계장, 양어장 등에서 동애등에 유충을 공급해달라는 요청이 급증하고 있어 월 4.5t(건조물)까지 생산할 계획”이라며 “올해 연 매출액이 4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산시에서 ‘흰점박이꽃무지(굼벵이)’를 사육하고 있는 농업회사법인 성암인섹트 손만호 대표는 “사육 자동화시설과 사육환경 제어시스템 등 스마트팜 도입으로 생산량이 30% 늘었고 노동력은 70% 줄었다”고 얘기했다.
경북도는 ‘유용곤충산업기반조성 지원 사업’에 2011년부터 지금까지 33억원을 65농가에 지원해 곤충 생산·가공·체험 분야 기반조성을 추진해왔다. 홍예선 경북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아직 대부분 곤충 사육농가의 시설과 규모가 영세하고 판로에 대한 어려움이 많아 홍보와 판로 개척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