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선언 1주년을 맞아 남북의 태도가 크게 엇갈렸다. 정부는 판문점선언에 대한 남북의 입장이 확고하다고 강조한 반면, 북한은 한·미 공조를 빌미로 대남·대미 압박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다. 북측은 정부가 지난 27일 개최한 1주년 기념행사에도 불참했다.
북한은 28일 우리 군 당국의 미국산 무기 구입을 강하게 비판했다. 노동신문은 이날 사설에서 “지금 온 민족과 국제사회는 우리 공화국(북한)의 적극적 노력에 의해 마련된 긴장완화의 국면이 지속되기를 바라고 있다”면서 “미국산 무기 구입이야말로 시대착오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미국산 무기구입 놀음은 백해무익한 친미 굴종행위”라고 직격했다. 북한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정부가 미국 록히드마틴사의 스텔스 전투기 F-35A를 인수한 것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전날도 축소 실시되고 있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해 조선중앙통신 논평을 통해 “명칭을 바꾸고 규모를 축소한다고 해서 도발적 성격과 침략적 정체가 은폐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라며 “미국과 남조선 당국은 전쟁연습 소동으로 얻을 것은 참담한 후회와 파국적 결과밖에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미국을 향해서도 “남조선 당국에 ‘속도조절론’을 노골적으로 강박하며 북남 관계를 저들의 대조선(대북) 제재 압박정책에 복종시키려 책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의 이 같은 비난 행태는 지난 12일 우리 정부에 ‘당사자’ 역할을 주문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의 연장선에 있는 행동”이라며 “특히 한·미 연합훈련을 지속적으로 비난하는 것은 지난해 이뤄진 남북 정상선언 불이행의 책임을 우리에게 돌리기 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고 평가했다.
한편 정부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 기념행사를 지난 27일 판문점 남측 지역에서 개최했다. 그러나 북측 인사는 단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아 ‘반쪽 행사’에 그쳤다. 문재인 대통령은 영상축사를 통해 “판문점선언이 햇수를 거듭할수록 우리는 되돌릴 수 없는 평화, 함께 잘사는 한반도를 만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승욱 기자, 판문점=공동취재단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