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단(단장 김정호 국회의원)이 동남권 신공항의 총리실 이관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추진 중인 대구·경북은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검증단은 24일 부산시청에서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부·울·경 지역 국회의원, 광역의원 및 기초지자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부·울·경 동남권 관문공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검증단은 보고회를 통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강행되면 심각한 소음피해와 안전사고 우려, 그리고 환경파괴가 불가피하다는 점 등을 제시한 뒤 “2016년 정부가 확정한 김해신공항은 24시간 안전하고 운영 가능한 제대로 된 동남권 관문공항이 될 수 없다”고 최종 결론을 발표했다.
부·울·경 단체장들은 이어 ‘김해신공항 문제의 조속한 국무총리실 이관과 24시간 안전한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을 국무총리에게 공식적으로 건의했다. 지난 2월 문재인 대통령이 “김해신공항 문제를 국무총리실에서 다룰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했고 이낙연 국무총리도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김해신공항 문제는 국무총리실에서 조정을 맡을 의향이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신공항 문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부산시 관계자는 “여야를 초월해 힘을 모은다면 이번에야말로 동남권 관문공항을 추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대구·경북은 “신공항 재검토는 말이 안되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대구·경북은 공동입장문을 내고 영남권 신공항의 대안으로 김해공항 확장과 대구공항 통합이전이 결정됐고 이는 영남지역 5개 지자체의 합의사안이기 때문에 5개 단체장 합의 없이는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남부권 신공항 문제는 다시 재론할 사안이 아니다”며 “현 정부에서도 누차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도 부·울·경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단의 발표를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검증단이 국토부와 공동으로 검증하기로 해놓고 자체적으로 선정한 기준으로 검토했기에 객관성과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사실관계 확인이 부족한데도 검토 의견을 일방적으로 발표해 국만 혼란만 초래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검증단의 반발에도 김해신공항 건설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에 큰 문제가 없다. 다만 검증단이 우려를 제기한 만큼 검토의견을 잘 살펴보고 합리적인 의견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부산·대구·세종=윤봉학 최일영 전성필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