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 부지(12만2975㎡) 개발 계획을 공론화 과정 없이 발표하면서 지역에서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김승수 전주시장의 공약 파기 논란에 이어 최장 99년 임대 조건을 놓고 ㈜롯데쇼핑에 대한 특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22일 성명을 내고 “‘1963 시민의 숲’으로 명명된 부지 임대형 개발계획은 2012년 개발안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지적하고 “공론화를 통해 개발 원칙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평화당 전북도당도 지난 19일 성명을 통해 “전주종합경기장 부지가 송하진 도지사와 김승수 전주시장의 개인 소유 땅인가?”라고 묻고 “도민의 의견을 수렴해 이를 반영하라”고 촉구했다. 정의당 전주시위원회도 “전주시의 개발 계획은 경기장을 공원으로 만들어서 재벌인 롯데에 통째로 바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와 전북도중소상인연합회도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장에 대형 백화점이 들어서면 2500개 가량의 가게가 문을 닫고, 8000∼9000명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며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단체와 야당, 중소상인들은 김승수 시장이 스스로 강조해 온 공약을 전격 파기한데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 시장은 당초 ‘경기장을 중심으로 덕진권역 뮤지엄 밸리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난 17일 전격 발표된 개발 계획은 예상과 전혀 다른 것이었다. 시민단체들은 “김 시장이 공약을 파기하고 롯데쇼핑과 복합센터를 짓겠다는 것은 배신의 정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세부적으로 백화점 부지를 50년 이상, 최대 99년(호텔은 20년) 임대해 주겠다는 계획에 비난이 쏠리고 있다. 전주시는 장기 임대가 현 법률에서 불가능하자 ‘외국인투자유치법’을 인용해 이를 허가키로 했다. 향후 롯데 측은 외국인투자법인을 설치한 뒤 백화점과 호텔 건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참여자치시민연대 관계자는 “2만3000㎡의 부지를 장기 임대하겠다는 것은 금싸라기 땅을 사실상 롯데에 소유권을 넘기는 매각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전주시는 “현재 (롯데쇼핑과) 계약한 상태가 아니고 결정된 사항도 없다”며 “용역 계획을 마치고 연말까지 이행협약을 맺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2012년 3월 송하진 시장(현 전북도지사)이 롯데측과 맺었던 협약에 대해서도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당시 송 시장은 시의회 동의 없이 그해 12월 롯데쇼핑과 계약을 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전주시민회는 업무상 배임 혐의로 송 지사의 형사고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