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세금이나 공과금을 제로페이로 납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법인카드를 제로페이로 쓸 수 있도록 유인책이 있으면 좋겠다.”
“제로페이가 결제서비스를 넘어 토털 모바일 플랫폼으로 발전해야 한다.”
18일 오후 서울 중구 신한엘타워 디지털캠퍼스에서 열린 ‘간편결제 활성화’ 간담회에서는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이날 간담회는 서울시가 민간의 아이디어를 듣기 위해 마련했다. 은행권, 결제사업자, 핀테크업체 등이 참석했다.
제로페이에 주력하고 있는 박원순 서울시장도 자리를 함께 하고 “글로벌 결제시장은 모바일 중심의 간편결제로 급속하게 바뀌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기존 신용카드 시스템에 안주해서 기술적 발전이나 산업의 변화에 뒤처지지 않을까 고민해야 한다”고 얘기했다.
토론에 앞서 3건의 전문가 제안이 발표됐다. 핀테크업체 뱅크샐러드의 김태훈 대표는 “각종 페이들은 소비자 선택을 받기 위해 사용자 편의, 가맹점 확대, 부가 혜택의 3대 영역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제로페이도 특화된 결제영역을 발굴해 소비자의 제로페이 결제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면서 “제로페이를 통해 세금과 공과금을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게 한다면 제로페이 활성화를 견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B2B 핀테크회사 웹캐시의 윤완수 대표는 법인카드 활성화를 제안하면서 “법인카드의 제로페이 사용분에 대해서 경비인정 한도를 20∼30% 확대하는 식으로 세법 개정을 해주면 기업들이 일반 소비자들보다 오히려 더 빨리 제로페이로 갈 수 있다”고 얘기했다. 한국블록체인학회 회장인 박수용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중국의 알리페이를 보면 교육앱, 배달앱, 여행앱 등과 합쳐져 토털 모바일 서비스로 확장되고 있다”며 “제로페이도 단순한 결제서비스를 넘어 플랫폼으로 성장해야 한다. 제로페이 기반으로 맞춤광고 서비스, 대중교통 서비스, 관광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서울시는 이날 제로페이 추진 상황을 보고하면서 다음 달 초 5대 편의점 4만여개 가맹점에서 소비자 QR방식(결제금액 입력 없이 결제하는 방식)의 제로페이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또 신세계, 롯데, 현대, 홈플러스 등 6개 대형 쇼핑몰과 가맹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금 결제수단에 제로페이와 직불카드를 추가하는 내용의 지방회계법 시행령 개정안을 19일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