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타결을 앞두고 막바지 조율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미국 언론에선 조만간 미·중 무역협상이 재개돼 합의문이 마련되고 추가 조율작업을 거친 뒤 이르면 5월 말, 늦어도 6월 말 미·중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협상이 성공할 것이란 느낌이 든다”고 거들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차례 ‘타결 임박’이란 소식이 들렸다가 계속 합의가 지연됐던 점을 감안하면 협상이 다시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이끄는 미국 협상단이 오는 29일쯤 중국 베이징을 방문할 계획이다. 그다음 주에는 류허 중국 부총리가 미 워싱턴을 방문해 추가 고위급 협상을 진행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라이트하이저 대표의 중국 방문에는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도 동행해 협상 마무리를 위한 최종 조율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양국 협상단은 이르면 5월 말 또는 6월 초 무역협상 합의문에 서명하는 것을 목표로 추가 대면협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양국 관리들이 5월 초 무역합의를 발표하고 이르면 5월 말에 합의문 서명이 가능할 수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양측은 류 부총리가 5월 초 미국을 방문할 때 양국 간 협상 타결 선언 및 정상회담에 관한 사항을 발표하고, 2주가량 추가 법률 검토작업을 거친뒤 5월 말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갖고 합의문에 서명할 수 있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미국 현충일인 ‘메모리얼데이(5월 27일)’ 전후에 서명이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5월 26∼28일 새 일왕의 첫 국빈으로 일본을 방문하고, 다시 한 달 만인 6월 28∼29일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양측이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일정을 감안해 이르면 5월 말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협상을 종결지으려고 속도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CNBC는 “중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열리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미·중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6월 말 G20 정상회의가 현실적으로 더 가능이 높다.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성공할 것이라는 느낌이 들고 그것은 양국에 모두 좋을 것”이라고 기대를 표명했다. 그는 “중국과의 무역협상은 좋게 진행되고 있고, 우리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그에 대해 조만간 듣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백악관에서 류 부총리를 면담한 자리에서도 “우리는 아마도 4주 안에 알게 될 것”이라고 했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