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5년간 8907억 투입 장애인 인권 대폭 개선

입력 2019-04-16 21:20
서울시가 2023년까지 8907억원을 투입해 장애인 인권을 위한 도시 만들기에 나선다.

서울시는 2014년 발표했던 1기 기본계획에 이어 2023년까지 추진하는 ‘제2기 서울시 장애인 인권증진 기본계획’을 16일 확정했다. 누구나 동등한 일상 수준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의 노동권과 주거권, 문화 향유권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는 현재 5.2%인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2023년 6%(2630명)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법령에 명시된 의무고용률은 3.2%다. 또 공공일자리 사업에 5년간 1384억원을 투입하고 무주택 세대주인 장애인의 경우 공동주택을 지원하는 사업을 2023년까지 1300세대로 늘린다.

서울 곳곳을 가더라도 불편함이 없도록 지하철역 엘리베이터를 전 역사에 설치하고 저상 시내버스를 2023년까지 100% 도입한다. 장애인 이동편의를 위한 콜택시는 2022년까지 682대(올해 482대)로 확대 운영한다.

장애 유형이나 성별, 연령에 상관 없이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낮에도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지난해 10곳에서 2023년까지 20곳으로 늘린다. 최중증발달장애인과 중복 뇌성마비장애인의 경우 가족들의 돌봄 부담이 큰 만큼 이들의 낮 활동을 지원해주는 서비스를 통해 가족들의 부담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여성장애인의 경우에는 자녀양육과 가사활동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홈헬퍼’를 파견해주는 사업을 올해 160명에서 2023년 220명으로 확대한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