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미세먼지의 원인 중 60% 이상이 중국 등 외부 요인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주변 국가와 함께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가 간 구속력 있는 협약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6일 주최한 ‘미세먼지 현황과 국제공조 방안 세미나’에서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경우 보수적으로 봐도 외부 유입 영향이 60%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연평균 미세먼지(PM2.5) 농도는 2017년 기준 25㎍/㎥인데, 올해 3월 초 최고 농도는 150㎍/㎥에 달했다”며 “이 기간 천리안 위성으로 특히 많은 양의 외부 미세먼지가 한반도로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조석연 인하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 서쪽(서울)은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뚜렷이 증가하고 있지만, 남동쪽(부산)은 변화가 미미하다”며 “고농도 초미세먼지 완화를 위해서는 중국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국제공조 방안으로 유럽의 ‘월경성대기오염물질협약(CLRTAP)처럼 관련 국가 간 구속력 있는 협약체결 방식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주변국과의 대기질 개선 협력사업은 자발적 단계에 머물러 실효성 있는 대기오염물질 감축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중국에 대해서는 1단계로 미세먼지 배출량 30% 저감을 요구한 후 2단계로 중국으로부터의 미세먼지 이동량 30% 저감을 유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패널토론자로 참여한 송철한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공기정화탑이나 인공강우는 과학적으로 무의미하거나 미성숙된 기술로 바람직하지 않다”며 “과학에 기반한 실용적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은 중국과 책임 공방을 하기보다는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미세먼지 해결방안 제안 및 권고, 같은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동북아 지역 국가와의 협력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