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관광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춘천 세계불꽃대회’ 개최 여부를 놓고 찬반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20만명이 찾아와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의견과 기대만큼 효과가 없고 미세먼지만 일으킬 것이란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춘천시 근화동주민자치회와 춘천시 이통장협의회, 한국외식업중앙회 강원지회 등 16개 단체는 15일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는 세계불꽃대회 예산 10억원을 전액 삭감해 지역 경기회복을 바라는 시민들의 열망을 한순간에 짓밟았다”며 “지역 발전의 전기 마련을 위해 도의회는 최종 예산심의에서 관련 예산 전액을 통과시킬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춘천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제조업 등 경제발전을 위한 기반이 약해 경제발전을 이끌 새로운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며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와 효과성에 의문이 있다는 이유를 들어 예산 통과를 막는 것은 주민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다른 시민단체들은 경제적 효과와 대회 타당성, 대기오염 등을 이유로 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춘천세계불꽃축제반대모임은 지난 8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와 춘천시에 세계불꽃대회 철회를 요구했다. 이 단체는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춘천시민연대, 미세먼지대책을촉구합니다 춘천 등 8개 단체로 구성돼 있다. 춘천세계불꽃축제반대모임은 “폭죽 행사의 위해성은 이미 국내외 많은 조사와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며 “춘천불꽃대회가 열릴 10~11월 부산과 서울에서도 대형 불꽃대회가 열리기 때문에 경제적 효과를 찾기 힘든 소모성 사업이 될 것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강원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는 지난 10일 도 문화체육관광국 추가경정예산안 심의에서 세계불꽃대회 관련 예산 10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도는 당초 도 10억원, 춘천시 4억원 등 총 18억원을 들여 오는 10월에 춘천에서 행사를 열 예정이었다. 이번 예산 통과 여부는 16일 열리는 도의회 예산결산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도는 오는 10월 대회가 열리면 외지인 8만명 등 모두 20만명이 관람해 47억원의 관광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전창준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불꽃대회는 춘천의 서면과 삼천동, 춘천역 등 일대를 관광 상품화할 좋은 기회”라며 “최근 진행된 불꽃축제 당시 대기질 측정 결과를 보면 행사 당일과 주변일 간 차이가 없었고 불꽃축제를 여는 부산, 포항 등에서도 위험성과 위해성이 낮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