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을 들이면 위험하다? 그 반대인 이유

입력 2019-04-12 00:00
독일 인도주의단체인 ‘시워치’ 소속 관계자들이 지난 3일(현지시간) 지중해에서 리비아를 탈출한 난민들을 태운 고무보트 쪽으로 다가가고 있다. 이날 구출된 사람중엔 10명의 여성과 갓 태어난 아기 5명이 포함돼 있었다. AP뉴시스

리비아에선 최근 내전이 격화되면서 지중해로 탈출하는 난민이 늘고 있다. 정치 불안에 경제난까지 겹친 베네수엘라에서도 수많은 국민들이 조국을 등지고 있다. 난민이 늘어나는 만큼 난민 문제를 둘러싼 논란도 커진다. 유럽과 미국에선 반난민 기류가 거세고 한국에선 ‘가짜 난민’과 ‘난민 포용’ 문제가 이슈로 떠올랐다. 이런 현실에서 난민을 제대로 보기란 쉽지 않다.

저자들은 미국에서 난민 재정착을 돕고 있는 기독교 복음주의단체인 월드릴리프의 전 회장 등 전문가들이다. 책을 번역한 김종대씨도 정치적 난민의 아들로 미국에서 태어났다. 난민을 주제로 저자부터 역자까지 모두 한마음이 됐다. 이들은 성경이 난민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으며, 현 상황과 관련해 난민에 대한 정확한 팩트가 무엇인지 밝힌다. 난민들은 누구이며 재정착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풀어낸다.


난민을 보는 시각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극명하게 갈린다. 특히 경제 문제나 무슬림 난민, 안보 위협에 대한 우려는 기독교인, 비기독교인 모두 비슷하다. 저자들은 이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한다. 우선 난민 유입시 경제가 악화되고 직업을 잃을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는 경제학자들의 연구를 제시하며 ‘오히려 긍정적’이라고 말한다. 난민도 소비자인 데다 그들이 종사하는 직종은 일반인과 달리 3D 업종에 몰려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난민이 받는 정부 혜택보다 내야 할 세금이 많아 오히려 경제적 이득이 크다고 한다.

무슬림 남성 난민은 테러리스트일 가능성이 크다는 추론에 대해서는 “잘못된 정보다. 지난 10년간 미국에 들어온 난민 중 27%만 중동 출신이었다”며 “10년간 전 세계를 통틀어 미국 난민 재정착제도의 수혜를 본 종교인 중에는 그리스도인이 가장 많았다”고 밝힌다.

안보위협에 따른 두려움에 대해서는 미국의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소개하며 ‘매우 희박하다’고 역설한다. 난민 지위를 받은 사람이 미국에 살기 위해서는 유엔난민기구의 초기 심사 후 미 국무부 국토안전부 국방부 연방수사국(FBI) 국가테러대책센터의 협조를 통해 길고 긴 검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최소 18개월 이상 소요되며 여러 차례의 직접 면담→제3자 면담→지문·망막 스캔을 포함한 생체조사→범죄·테러혐의자 데이터베이스 대조→건강 진단 단계를 거친다. 이 모든 과정을 탈없이 통과한 난민만 미국행 항공권 구매가 가능하다. 공항에 도착하면 한 번 더 검문을 받고 동일인이라는 확인을 받는다. 1970년 이후 이런 과정을 거쳐 미국에 들어온 난민은 300만명으로 지금까지 단 한 건의 테러도 없었다고 반박한다.

책에는 난민들의 스토리도 소개된다. 그들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왜 사랑하는 조국과 정든 집을 떠날 수밖에 없었는지 공감하게 된다. 난민이라는 집합명사가 아니라 이름을 가진 개개인으로 대면할 때 느낄 수 있는 인간 본연의 모습과 만나는 것이다.

저자들은 지금이야말로 교회가 두려움에 맞서 빛을 발할 때라고 강조한다. 교회와 신자가 신학을 삶으로 살아낼 기회라면서 난민들이 자립해 외부 도움 없이 필요를 스스로 해결할 때까지 다방면으로 도우라고 촉구한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