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꿈꾸는 지자체들, 빅데이터 부서 설치 붐

입력 2019-04-11 20:19
서울 성동구의 교통량 데이터, 유동인구 데이터, 차량등록대수, 주차장 현황 데이터 등을 활용한 ‘불법 주정차 분석’. 성동구 제공

‘스마트시티’가 지방도시의 키워드로 부상하면서 빅데이터 관련 부서를 설치하는 곳이 늘고 있다. 전국 243개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중 빅데이터 부서를 운영하는 곳은 2014년 4곳에서 2018년 23곳으로 증가했다.

‘스마트도시 특구’로 지정된 서울 성동구는 빅데이터를 행정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빅데이터센터’를 출범시켰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1월 신설한 스마트도시포용국 산하 정보통신과 내 팀 조직이다. 외부 전문가 2명을 채용해 총 3명으로 센터를 출범시켰고, 7월에 직원을 추가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쓰레기 무단투기 민원신고 데이터 등을 활용한 ‘쓰레기 무단투기 분석’. 성동구 제공

성동구 빅데이터센터는 앞으로 교통 데이터나 민원 데이터 같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불법 주정차 해결, 쓰레기 무단투기 해결, 흡연구역 설정, 여유차로 주차공간 조성 등의 과제를 수행한다. 성동구 관계자는 “마장동이나 서울숲의 경우, 주말이면 주차가 굉장히 힘들다. 그래서 그 지역 교통량에 대한 시간대별 데이터 등을 활용해 임시주차 대책을 마련하려고 한다. 또 쓰레기 무단투기 문제도 심각한데 지역별 배출량이나 민원 다발지역 데이터를 활용하면 CCTV 설치 지역 선정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면서 “빅데이터 활용이 앞으로 행정 절차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전북, 경남, 제주의 8곳에서 빅데이터 부서가 운영되고 있다. 226개 시·군·구 중에서는 성동구를 포함해 16곳에서 빅데이터 조직을 설치했다.

빅데이터 전담조직은 아직 규모가 작다. 대부분 팀 단위로 운영되며, 서울시와 경기도는 과를 두고 있다. 올 1월 스마트도시정책관(국장)을 신설한 서울시는 그 안에 빅데이터담당관(과장)을 두고 빅데이터기획팀장, 빅데이터분석팀장, 빅데이터개방팀장, 빅데이터자원통합팀장, 통계조사팀장까지 5개 팀을 운영하고 있다.

안정준 서울시 빅데이터담당관은 “2013년 서울시가 시작한 ‘올빼미버스’가 행정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첫 번째 사례”라며 “올빼미버스는 심야시간대에 운행하는 버스인데, 통신사의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해 밤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장소를 시간대별로 분석해 운행 노선을 정했다”고 말했다.

서울시 빅데이터담당관실에는 각 부서들로부터 관련 빅데이터를 분석해 달라는 요구가 많다. 안 담당관은 “공공자전거 따릉이 부서의 경우, 따릉이대여소를 계속 늘려야 하는데 어디에 새로 설치해야 할지 고민이다. 그럴 때 우리 부서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여소 설치 장소를 추천해 준다”며 “이전에는 공무원의 감이나 관행에 의해 결정되던 일들에 객관적인 증거나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