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 김구 선생과 윤봉길·이봉창 의사가 잠들어 있는 용산구 효창공원이 2024년 ‘독립운동 기념공원’으로 재탄생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하루 전날인 10일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효창독립100년공원 구상안’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앞으로 (독립운동 기념공원이) 독립운동의 뜻을 기리고 미래세대가 뛰어노는 명소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효창공원은 조선 정조의 장자인 문효세자의 묘역인 ‘효창원’이 있던 자리다. 일제는 이곳에 골프장과 유원지를 지었고 해방 직전에는 묘역을 서삼릉으로 이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규모는 3분의 1로 축소됐고 도로도 단절돼 섬처럼 폐쇄적인 공원이 돼 버렸다.
해방 이후 백범 김구 선생은 이곳에 독립운동가 묘역을 조성했다. 본인도 1949년 효창공원에 안장됐다. 현재 효창공원에는 김구 선생을 비롯해 이봉창·윤봉길·백정이 ‘삼의사’와 각각 임시정부 주석과 비서장, 군무부장을 지낸 이동녕, 차리석, 조정환 선생 등 독립운동가 7인의 묘역이 있다. 안중근 의사 유해가 봉환되면 안장하기 위한 가묘도 있다.
공원 출입구와 맞닿아 있는 효창운동장 축구장 하부에는 독립운동가 기념공원이 조성된다. 묘역은 참배객 위주의 공간이 아니라 방문객과 시민들이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일상 속 추모공간으로 만든다. 독일 ‘유대인 학살 추모공원’이나 쇼팽, 오스카 와일드 등 유명인이 안장된 파리의 도심 속 공원 ‘페르라셰즈 묘지공원’과 같은 공간으로 만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2021년 착공에 들어가 2024년까지 공원을 완성할 계획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