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산불 피해면적 1757㏊로 집계… 처음 발표보다 3배 늘어

입력 2019-04-10 21:14
김재현 산림청장이 10일 강원도 강릉시 동부지방산림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일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강원도 산불 피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동부지방산림청 제공

지난 4일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면적이 530㏊에서 1757㏊로 3배 넘게 늘었다.

산림청은 국립산림과학원의 위성영상(아리랑 3호)을 이용한 피해면적 분석결과 고성, 속초, 강릉, 동해, 인제까지 5개 시·군의 산림 피해 면적이 1757ha로 분석됐다고 10일 밝혔다. 고성·속초는 700ha, 강릉·동해 714.8ha, 인제 342.2ha 등이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애초 피해 면적보다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특히 인제군은 30㏊에서 342.2㏊로 11배 넘게 증가했다.

정확한 피해면적은 현장조사를 통해 확정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오는 19일까지 5개 시·군과 합동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한다. 또 산림 분야 조사·복구 추진단을 구성해 산림 분야 피해를 면밀하게 조사하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응급·항구 복구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이번 강원도 산불 대처에서 드러난 문제점이 있다면 자세히 파악하고 개선책을 조속히 마련할 것”이라며 “향후 대형 산불 발생 시 조기 진화를 위해 진화 장비와 대원 등 필요한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고성산불 이재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음에도 턱없이 부족한 주택 복구 지원금 문제 등에 직접 대응하기 위해서다. 고성지역 이재민 200여명은 이날 오후 재난안전대책본부가 마련된 토성면행정복지센터 2층 회의실에서 ‘고성한전발화산불피해이재민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키 위해 마을별 대표를 선출했다.

대책위는 11일 위원장을 선출하고 정부 등을 상대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주택 복구 지원금의 현실화와 함께 철저한 원인 규명 등을 정부에 촉구하기로 했다. 현재 주택 복구 지원비는 전파한 경우 1300만원, 반파한 경우 650만원이 국비로 지원된다. 융자는 최대 60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대책위 관계자는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대변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강릉시와 고성군의회도 주택 복구 지원금의 현실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강릉시는 행정안전부에 전소 주택 주거비를 현행 13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상향해 줄 것을 건의했다. 앞서 고성군의회는 전날 ‘고성산불 피해지역 국가지원 확대 촉구 건의안’을 채택하고 대통령과 국회의장, 행정안전부장관, 기획재정부장관 등에게 발송했다.

강릉=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