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농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농식품 유통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2023년까지 국·도비 284억원을 들여 추진하는 이 프로젝트는 유통구조 개선, 판로 확대, 유통환경변화 대응, 안전 먹거리 공급체계 강화,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5개 부문 20개 세부 실천과제로 구성됐다.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과수 중심 통합마케팅 강화·정책자금 지원을, 판로 확대를 위해서는 수출 활성화 마케팅 지원·로컬푸드 직매장 개설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소비패턴 변화에 대응하는 제품 개발, 친환경농산물 생산 확대, 농산물 안전관리제도 지속 홍보 등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또 농식품 유통전담 기관인 (재)경북도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을 오는 12일부터 운영하고 전문가 70명으로 농식품 유통혁신위원회도 발족할 계획이다.
도는 20개 실천과제 추진을 통해 5년 동안 농가-소비자 직거래 매출액 2000억원, 농식품 수출 7억 달러, 통합쇼핑물(사이소) 매출 200억원, 농식품 기업 신규인력 고용 750명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산지유통시설을 135개까지 늘리고 로컬푸드 직매장도 현재 47곳에서 7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과수 APC(산지유통센터) 경유율은 27%에서 50%로, 스마트 팜은 800㏊까지 확대하는 등 관련 인프라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경북은 다른 지역보다 유통구조가 복잡해 식량 작물, 과수 등의 수급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프로젝트로 ‘제값 받고 판매 걱정 없는 농업 실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제값 받는 농업 실현”… 경북도, 농식품 유통 혁신 나서
입력 2019-04-09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