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된 서울 금천구 독산동의 우시장 일대가 지역경제 거점으로 탈바꿈한다. 1974년 도축장이 들어선 뒤로 서울의 대표적 축산물 전문시장을 형성한 지 45년 만이다. 도축장은 2000년대에 이전했다.
앞으로 이곳은 현대화된 시장과 문화센터, 섬유산업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독산동 우시장의 도시재생사업은 지난해 부동산 과열을 부추길 수 있다는 이유로 제외됐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 안정세가 이어지면서 서울의 첫 번째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으로 뽑혔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8일 제16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9년도 상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 올해 선정 예정인 100여개 사업 가운데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는 22곳을 골랐다. 2023년까지 22곳에 총 1조4000억원(국비+지방비)을 투입할 예정이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기존의 철거·정비 방식과 달리 주거환경 개선, 지역별 문화 콘텐츠 발굴 등 지 주민이 원하는 생활 관련 시설을 설치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지방자치단체가 마을도서관, 주차장 등 소규모 생활편의시설을 만들고 정부가 예산을 일부 지원한다. 중심시가지형(공공서비스와 상권 쇠퇴 지역에 활력 증진), 경제기반형(도시 차원의 경제 쇠퇴 심각한 지역에 새 경제거점 형성), 일반근린형(주거지와 골목상권 혼재 지역에 주민공동체·골목상권 활성화), 주거지지원형(소규모 주택 정비 등 주거환경 개선), 우리동네살리기(소규모 주택 정비, 기초 생활 인프라 공급) 유형으로 나뉜다.
정부는 우시장 도시재생사업, 전남 순천 국가정원 플랫폼 조성사업 등 경제 효과가 큰 중규모 사업 7곳을 지정했다. 지역 산업기반을 회복시키고 혁신거점 공간으로 조성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 게 주요 목표다. 노후한 저층 주거지를 정비하는 소규모 사업 15곳도 선정됐다.
다만 정부는 뉴딜사업 대상지역에서 부동산 과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지자체가 부동산시장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부동산시장 과열이 우려되면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