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역 단체장 등이 8일 국회를 찾아 동해안 산불 진압과 피해 복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준 국민께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이 동해안을 휩쓴 산불을 진압하는 데 대한민국의 전 역량을 쏟아주셨다. 감사드린다”고 말하며 고개를 숙였다. 이 자리에는 한금석 강원도의회 의장, 김한근 강릉시장도 함께 했다. 이어 최 지사는 “모든 분의 노력으로 감당할 수 없었던 재난을 최소한의 피해로 극복할 수 있었다”며 “강원도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 주신 노고를 절대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한근 강릉시장은 관광객들이 주저하지 말고 동해안 시·군으로 찾아와 줄 것을 호소했다. 이번 산불로 지역 관광산업이 큰 타격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 김 시장은 “영동 6개 시·군은 연간 5000만명이 찾는 관광지인데 화재 여파로 지난 주말 관광객이 거의 없었다”며 “영동 지방을 찾아주실 것을 간곡히 호소드린다”고 말했다.
피해 복구가 본격화되면서 이재민들은 주택 복구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산불로 수백여채의 주택이 피해를 입었다. 현재 자연 또는 사회재난 구호 및 복구 비용 부담기준에 따르면 주택이 전파된 경우 국비 1260만원이 지원된다. 여기에 지방비 500만원가량이 추가 지원되고 나머지는 개인이 자비로 부담해야 한다. 융자는 최대 6000만원까지만 받을 수 있다. 주택이 전파된 경우엔 본인이 빚을 떠안고 피해 복구를 해야 하는 상황인 셈이다. 정부는 우선 지방자치단체 피해 사실 조사를 통해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고 보상 기준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이재민들은 자부담 액수가 너무 크다며 전액 국비 지원을 바라고 있다. 이미옥(58)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강원지회장은 지난 6일 고성을 찾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이재민들 대부분이 연로해 은행대출 이자도 벌 수 없는 형편”이라며 “2000만~3000만원의 자부담도 버거운 상황인 만큼 전액 국비로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건의했다.
강원도와 피해 시·군에서도 과거 대형 산불 시 주택 복구비가 전액 지원됐던 전례를 근거로 정부에 전액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2000년 390채가 불에 탔던 동해안 산불의 경우 고성지역은 평당 180만원이 지원됐고, 전액 배상금으로 충당했다. 나머지 강릉·동해·삼척 등 3개 시·군에도 똑같은 금액이 지원됐지만 자부담 비율은 6%(국비 62%·융자 32%) 정도였다.
앞서 주택 181채가 전소됐던 1996년 고성산불 때도 평당 180만원을 책정해 국비 70%, 배상금 30% 등 전액을 지원했다. 이들 2건의 산불은 군사 훈련과 군부대 소각장에서 쓰레기를 태우던 중 발생해 국방부가 피해액을 배상했다.
속초와 고성이 지역구인 이양수 국회의원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정부가 모든 것을 다 지원해주는 것으로 알던 이재민들의 실망감이 크다”며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속초=서승진 기자, 김유나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