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대응체계를 고도화한다.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재난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미세먼지 전문가들로 구성된 정책자문단 구성과 미세먼지연구소 설립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7일 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미세먼지 재난대책본부’를 출범시킨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미세먼지 재난대책본부는 국가 재난사태 시 가동되는 정부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된다.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면 당일 오후 4시부터 미세먼지 재난대책본부가 소집된다.
대책본부는 서울시장이 주재하며, 기후환경본부장이 상황실장을 맡는다. 본부 산하에는 총괄반, 사업장관리반, 시민건강보호반, 홍보추진반, 효과분석반까지 5개 반이 편성돼 공사장 조업 단축, 도로 청소, 취약계층 보호, 대시민 홍보 등을 시행한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연구·정책자문단’도 구성하고 8일 첫 간담회를 갖는다. 자문단은 장영기 수원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를 비롯한 대학교수, 연구원, 시민단체 대표, 시 공무원 등 21명으로 구성됐다.
자문단은 최근 서울시가 환경부에 제안한 ‘미세먼지 시즌제’의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하반기 시행 예정인 녹색교통지역 운행제한, 차량 2부제 등에 대해서도 자문할 계획이다. 미세먼지 시즌제는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이 잦은 겨울철과 봄철을 고농도 시즌으로 설정해 이 기간 내내 석탄화력발전 감축이나 차량 2부제 운행 등 저감조치를 시행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미세먼지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미세먼지연구소’도 설립한다. 현재 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기술연구원, 서울연구원 등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미세먼지 관련 연구를 통합해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이뤄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달 내 미세먼지연구소 조직과 인력이 확정되며 6월부터 연구과제를 추진한다. 미세먼지연구소는 지하철과 지하상가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를 우선 연구과제로 선정할 예정이다. 기존에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던 미세먼지 기술의 인체위해성 검증 연구도 외부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추진한다.
박 시장은 8일 오전 미세먼지 연구·정책자문단 간담회에 참석하고 오후에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내 대기질통합분석센터를 방문한다. 지난 1월 신설된 대기질통합분석센터는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와 예측자료를 활용해 최대 96시간 이후까지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을 예측할 수 있도록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