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신청사 건립 공론화 착수… “과열 유치행위 단호히 대처”

입력 2019-04-07 20:02
권영진(사진 앞줄 왼쪽에서 4번째) 대구시장과 김태일(사진 앞줄 왼쪽 2번째) 신청사 건립 공론화위원장이 5일 오후 대구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공론화위원회 1차 회의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뉴시스

대구지역 기초단체들의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는 대구시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됐다. 사업을 주도할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를 출범시킨 대구시는 유치 희망 기초단체들의 과열 경쟁 방지와 공정한 건립지 선정이라는 시험을 치르게 됐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공론화위가 출범해 첫 회의를 열었다. 19명으로 구성된 공론화위는 신청사 건립에 대한 공론화과정을 총괄하게 된다. 위원장은 김태일 영남대학교 교수가 맡았고 당연직 위원은 대구시 행정부시장(부위원장)과 기획조정실장, 자치행정국장, 김대현(서구)·전경원(수성구) 대구시의원이 맡았다. 위촉직 위원에는 건축조경과 정치행정, 인문사회, 통계분석, 도시계획, 지리교통, 문화관광, 갈등관리 분야 전문가 14명이 위촉됐다.

공론화위는 신청사 건립을 추진함에 있어 시민 합의가 가장 중요한 만큼 시민사회의 분열을 초래하는 과열 유치행위에 단호히 대처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보였다. 2004년부터 추진된 신청사 건립이 지역 간 지나친 유치행위와 정치적 이해관계로 좌초를 맞았던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공론화위의 의결에 따라 집회와 서명운동, 삭발식, 방송·신문 광고, 현수막·애드벌룬 설치, 전단지 배포 등의 행위를 하는 기초단체에게는 건립 예정지 선정 평가 시 벌점을 부여한다.

앞으로 공론화위는 국토연구원과 대구경북연구원 컨소시엄 형태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전문연구단(분야별 전문가 30명 이내)을 구성하기로 했다. 신청사 건립 연구용역과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기본구상, 건립 예정지 선정기준 등을 마련한 뒤 시민과 시민단체, 전문가 등 250명 내외로 구성된 시민참여단 평가를 통해 올해 말까지 건립 예정지를 확정하게 된다. 시는 후보지 신청을 하지 않은 구와의 형평성을 지키기 위해 탈락 후보지에 대한 보상은 없다고 못박았다.

시청사는 현재 중구 동인동에 위치하고 있는데 현 위치에 신축 혹은 리모델링할지 아니면 다른 곳으로 옮길지가 핵심 쟁점이다. 앞서 현 위치 고수를 주장하는 중구와 관내 유치를 희망하는 북구(옛 경북도청 터), 달서구(옛 두류정수장 터), 달성군(화원읍 설화리 LH분양홍보관 부지)이 유치전에 뛰어든 상황이다.

김태일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장은 “벌써부터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어 긴급한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며 “오는 14일까지는 자체 시정 기간으로 정하고 15일부터 적발된 행위에는 패널티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