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서울시에 “기피시설 공동협의체 구성하자”

입력 2019-04-04 22:09 수정 2019-04-04 23:25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울시 소유 기피시설로 인해 수년간 주민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고양시가 서울시에 ‘공동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4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일 기피시설 관련 정책을 발굴하는 실무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고양시에는 현재 서울시가 운영하는 벽제승화원과 난지물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처리시설 등 5곳의 소위 기피시설이 있다. 두 지자체 경계에 자리잡은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등까지 포함하면 7곳이나 된다.

벽제승화원은 50여년 가까이 운영 중이며, 다른 시설도 30~40년 이상을 운영하면서 지역 간 갈등을 야기해 왔다. 이 시설들은 특히 고양시 덕양구에 집중돼 있는데 주민들은 고양시에 위치한 기피시설이 서울시 내 시설에 비해 투자가 전무하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 서울시 소재의 물재생센터의 경우 2010년부터 엄청난 예산을 들여 시설 현대화가 추진됐지만 규모가 가장 큰, 고양시에 위치한 난지물재생센터의 시설 개선사업은 후순위로 밀려 있다.

이밖에도 도내동 불법 차고지 문제와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입지도 새로운 갈등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의 경우 인근 주민들이 제기하는 민원이 월 평균 5000건에 달할 정도여서 국가인권위원회에서도 ‘심각 민원’으로 분류할 만큼 국가적 차원의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앞서 2012년 고양시와 서울시는 갈등 해결을 위해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체결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자 고양시가 ‘공동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것이다. 고양시가 제안한 공동협의체는 제1부시장(2급)이 대표로 참여해 정책적 사안을 결정하는 하향식 구조의 정책협의체다. 고양시는 상호 중재자 역할로 경기도의 참여를 제안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기피시설 갈등 해소를 위해 두 지자체가 오랫동안 노력했지만 아직까지 주민 기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소모적 대립을 넘어 상생으로 나아가기 위한 서울시의 전향적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