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에 ‘쓰레기 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뚜렷한 해법이 없는 상황에서 광주시와 각 자치구, 수거업체, 주민들이 쓰레기 처리 방안을 놓고 고심에 빠져 있다.
4일 광주시에 따르면 2016년 폐쇄된 상무소각장 대체 시설로 문을 연 SRF시설(고형폐기물연료)이 나주 열병합발전소 재가동을 둘러싼 찬반 논란으로 1년 넘게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 지난해 2월부터 가동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SRF연료의 유일무이한 납품처인 나주 열병합발전소가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2017년 12월부터 가동을 멈춘 데 따른 것이다.
하루 800t의 생활쓰레기 처리가 가능한 SRF시설은 쓰레기 선별과 분리 작업을 거쳐 비닐 등 가연성 쓰레기를 활용해 400~500t의 SRF연료를 생산한다. 하지만 나주 열병합발전소가 가동을 멈추면서 SRF연료 생산도 전면 중단됐다. 이로 인해 광역위생매립장에서는 광주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전량 매립하는 고육지책을 동원하고 있다. 광주시는 궁여지책으로 양과동 매립장을 조기 증설하겠다고 나섰지만 뾰족한 대책은 아니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광주지역 쓰레기 발생량은 하루 평균 648t에 달한다. 광산구에서는 재활용 폐기물 처리장이 있지만 인근 주민 반발로 공장을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임곡동에 들어선 폐기물 처리장도 주민들의 반대로 여려움을 겪고 있다. 이곳에서 재활용쓰레기를 처리하려던 남구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민들은 “폐기물에서 배출될 공해물질로 친환경 농사를 짓지 못하게 되고 인근 황룡강의 수질도 크게 악화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광산구는 금명간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업체와 주민 간 갈등을 조정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난항이 예상된다.
광주 동구는 쓰레기 수거위탁 계약을 맺은 업체가 재활용과 일반쓰레기 구분 없이 혼합 매립했다가 민원이 제기됐다. 광주시는 5개 자치구, 환경단체 등과 함께 쓰레기 배출량 자체를 줄이는 시민운동을 벌이고 있으나 역부족이다. 시 관계자는 “SRF시설 가동이 멈추면서 모든 쓰레기를 땅에 묻는 것 말고는 달리 대안이 없다”며 “광역매립장 수명 단축이 현실화된만큼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