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최서단 섬에 측정망 도입, 중국발 미세먼지 감시한다

입력 2019-04-04 19:53

충남도가 충남 최서단 격렬비열도·외연도에 초미세먼지(PM 2.5) 측정망 도입을 추진함에 따라 중국발 미세먼지 감시체계가 강화될 전망이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4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충남형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는 2022년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을 2015년 대비 35.3%(9만8571t)수준까지 감축하고,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15㎍/㎥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계획 등이 담겼다. 이를 위해 도는 대기배출허용 기준 조례 개정과 함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에 대한 권한 부여를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도는 특히 국경을 넘는 ‘월경성’ 미세먼지 문제의 해소를 위해 충남 최서단 격렬비열도·외연도에 초미세먼지 관측 장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 장비가 설치될 경우 기존 황사측정 장비(PM 10)보다 더욱 세밀한 감시가 가능해 초미세먼지 및 황산화물(SOX)·질소산화물(NOX) 등 오염원별 측정이 가능하다.

양 지사는 “충남 최서단인 격렬비열도·외연도에는 화력발전소나 산업시설이 없다. 이곳에 종합측정소가 설치되면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의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며 “중국이 국내 미세먼지 문제에 끼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정확하게 측정되면 향후 중국과의 미세먼지 문제 공조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후경유차·건설 기계장비 등 이동 배출원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의 저감 대책도 마련된다. 도는 2022년까지 106억원을 투입해 노후 경유차 6610대의 조기 폐차를 지원하고, 826대의 경유 버스와 어린이 통학차량을 천연가스·액화석유가스(LPG) 차량으로 대체하는데 29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밖에 도는 취약계층 실내 공기질 개선 컨설팅과 공기청정기 보급사업에 219억원을, 생활주변 녹지 조성사업에 136억원 등을 책정해 추진하기로 했다. 또 도내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도내 산업단지에는 에너지 효율 향상 시스템을 구축하고 굴뚝자동측정기기(TMS) 등을 활용하는 대기배출 사업장에 대한 지도도 강화하기로 했다.

양 지사는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시행을 통해 추가 오염원 배출을 원천 차단할 것”이라며 “지역별 대기 배출허용 총량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면 부과금을 내도록 하는 등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충남과 인접한 중국 지자체와의 환경 교류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남북교류 의제에도 미세먼지 공동사업을 포함시키겠다”고 덧붙였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