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교섭단체 구성 서두르는 정의당, 시큰둥한 평화당

입력 2019-04-04 19:04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4일 국회에서 상무위원회를 주재하며 전날 고 노회찬(뒤쪽 배경사진) 의원 지역구인 경남 창원 성산 보궐선거에서 여영국 후보가 당선된 것을 언급하다 눈물을 흘리고 있다. 김지훈 기자

원내 교섭단체 ‘평화와 정의’는 되살아날 수 있을까. 4·3 경남 창원 성산 보궐선거에서 여영국 정의당 후보가 당선돼 정의당이 국회의원 1석을 회복하면서 노회찬 전 의원의 죽음으로 와해됐던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이 재구성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정의당은 4일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하루빨리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평화당 내에서 ‘정의당과의 연대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난관이 예상된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이날 KBS 라디오에 나와 “곧바로 평화당을 만나 (교섭단체 구성) 이야기를 진행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여영국 당선인도 MBC 라디오에서 “선거기간 중 정동영 평화당 대표가 선거사무소를 방문한 적이 있고, 그때 반드시 (제가) 당선돼 가장 진보적이고 개혁적인 교섭단체를 부활시키겠다고 말씀드렸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평화당 내에선 반대 목소리가 비등하고 있다. 장병완 원내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야가 강대강 대치를 하는 상황에서 교섭단체 회복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의원이 다수”라며 “제3당에 대한 국민의 갈망이 커지는 시점이어서 그런 뜻을 담아내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당수가 정의당보다는 바른미래당과의 연대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평화당은 5일 의원총회를 열고 교섭단체 문제를 공식화할 예정이다.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이 부활한다면 국회는 4개 교섭단체(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평화와 정의) 체제로 재편돼 범여권의 개혁법안 추진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