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5G 토털 모뎀 솔루션(사진)을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모뎀 5100’과 무선 주파수 송수신 반도체 ‘엑시노스 RF 5500’, 전력 공급 변조 반도체 ‘엑시노스 SM 5800’을 양산하며 5G 시대 준비를 마쳤다. 모뎀과 RF칩, SM칩은 초고속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기술 핵심 반도체다.
모뎀칩이 휴대폰의 음성, 데이터 정보를 신호로 변환하거나 외부의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해 준다면 RF칩은 신호를 전파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전파 신호를 더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전압을 조정해 주는 것이 SM칩이다. 엑시노스 RF 5500과 엑시노스 SM 5800 기술을 다룬 논문이 올해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반도체기술학회 2019’에서 우수 제품 논문으로 선정됐다.
세 제품은 3일 삼성전자가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출시한 5G 스마트폰 갤럭시S10에 탑재됐다.
한편 애플이 삼성전자에 스마트폰용 5G 모뎀 공급을 요청했으나 삼성전자가 물량 부족을 이유로 일단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5G 모뎀을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삼성전자, 퀄컴, 화웨이 정도다. 애플은 퀄컴과 소송 중이라 새로운 공급 계약을 진행할 여건이 안 된다. 화웨이는 미국 정부 차원에서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 불가능하다. 애플이 올해 출시할 아이폰에 5G를 탑재하려면 사실상 삼성전자가 유일한 대안인 셈이다. 애플은 인텔과 5G 협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인텔은 올해 말에나 5G 모뎀을 내놓을 예정이라 9월쯤 나올 애플의 새 아이폰에는 탑재가 어려운 상황이다.
김준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