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미·일 3각 동맹 강조… 최악 韓·日관계 우려 메시지?

입력 2019-04-04 04:03
북한 선박에 정유 제품을 공급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를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는 한국 국적 피파이오니어호가 3일 부산 감천항에 억류돼 있다. 뉴시스

미국 국무부는 대북 공조와 관련해 “우리는 한국 일본 등 동맹국들과 긴밀히 조율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나올 모든 미래 조치들은 우리의 긴밀한 조율을 거쳐 나올 것”이라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로버트 팔라디노 국무부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한·미·일 공조를 강조했다.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 비핵화 해법을 둘러싸고 제기된 한·미 갈등설을 일축한 것이다. 동맹국 간 조율을 강조한 것은 한국의 단독플레이에 대한 경고 의미도 내포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현재 냉랭한 관계를 이어가는 한·일 양국이 안보 문제에 있어서는 긴밀한 공조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미국의 입장이 담긴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또 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와 관련해 “미국은 앞으로 나아갈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우리의 노력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 이상 추가할 말은 없다. 더 나아가지 않겠다”고 신중한 스탠스를 취했다.

이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공화당의회위원회의 만찬에 참석해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상황을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당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당신은 합의할 준비가 안 돼 있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당시) 그와 산책을 했다. 그는 합의할 준비가 안 돼 있었다”면서 “누군가 그에게 그런 말을 하고 떠난 것은 처음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북한 선박에 정유 제품을 이전한 혐의로 지난해 10월부터 부산 감천항에 억류 중인 한국 국적 피파이오니어호(5160t급)에 대한 조치를 유엔 대북제재위 및 미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 해경에 따르면 이 선박은 2017년 9월 동중국해 공해상에서 북한 유조선 금운산호와 유선호에 경유 총 4320t을 환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3일 “안보리 결의상 억류 6개월 이후 기국(선박의 국적)이 선박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 등을 보고하면 제재위가 판단해 억류 해제 등의 결정을 내리게 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아직 해당 선박에 대한 구체적 조치 방안을 제재위에 보고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안보리 제재 결의 위반 혐의로 한국에 억류돼 있는 선박은 피파이오니어호를 포함해 총 4척(라이트하우스윈모어호 코티호 탤런트에이스호)이다. 여기에 제재 위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출항을 보류시킨 외국 국적 선박이 2척 더 있다. 이 2척에 대한 제재 위반 혐의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이와 별개로 미 재무부의 대북 불법 환적 관여 의심 선박 리스트에 포함된 한국 국적 루니스호가 이날 오전 국내에 입항해 관계 당국이 검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검사 결과 제재 위반을 의심할 만한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선박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마린트래픽을 통해 미 재무부 리스트에 오른 선박 18척의 지난 1년간 동선을 확인한 결과 선박 간 환적으로 추정되는 움직임이 가장 많았던 것은 루니스호였다고 보도했다. 유기준 자유한국당 의원은 “루니스호는 2017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총 27차례 정유 16만5400t을 싣고 나갔다”며 “루니스호가 머문 해역은 미 재무부가 주요 환적지로 지정한 장소”라고 말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권지혜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