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고성 지역에 ‘비무장지대(DMZ) 평화둘레길’을 조성해 이달 말 관광객들에게 개방한다는 3일 정부 발표를 놓고 군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여전히 남북 군이 날선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는 위험 지역인 만큼 안전대책을 보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당초 경기도 파주와 강원도 철원, 고성 3곳에 DMZ 평화둘레길을 조성해 이달 말 모두 개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2일 정부부처 간 긴급협의를 거쳐 고성 지역만 먼저 개방하고 다른 2곳은 5~6월 개방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정부는 방문객 접수준비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안전문제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고성은 파주·철원과 달리 DMZ 안으로 들어가는 코스가 없다. 국방부 당국자가 2일 사전 브리핑에서 3곳 모두를 이달 말 개방한다고 설명했을 때 관광객 안전문제를 제기하는 기자들 질문이 쏟아진 바 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과 평화둘레길 조성 관련 협의를 진행하지 않았다. 평화둘레길은 남측 관할구역에 해당하는 곳이어서 북한에 통보할 의무는 없다. 하지만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한 사전통보 절차는 거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DMZ에 구축된 남북 경계초소(GP) 간 거리는 1㎞ 안팎으로, 북한군 14.5㎜ 고사총 사거리에 들어가는 지역이다. 게다가 최근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9·19군사합의는 지지부진해진 상태다.
국방부는 DMZ 출입을 관리하는 유엔군사령부와의 협의 절차도 마무리하지 못했다. 군 관계자는 “북측에는 적절한 시점에 관련 사업을 통보할 것”이라며 “유엔사와의 협의는 거의 끝났으며 유엔사 내부 의사결정 정도만 남아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