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단의 땅’이었던 비무장지대(DMZ)가 평화·안보를 체험할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장으로 변신한다. 정부는 이 일대를 ‘DMZ 평화둘레길’(가칭)로 조성해 이달 말부터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와 문화체육관광부, 통일부, 국방부, 환경부의 5개 부처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전협정 이후 첫 개방되는 DMZ 평화둘레길 조성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대상 지역은 강원도 고성과 철원, 경기도 파주다. 이들 지역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감시초소(GP) 철거와 유해 발굴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곳으로 동부와 중부, 서부에서 각각 한 곳씩 선정됐다.
먼저 정부는 GOP(일반전초) 철책선 이남 고성 지역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한다. 오는 27일부터 개방할 예정이다. 고성 지역은 통일전망대에서 시작해 해안 철책을 따라 금강산전망대까지 방문하는 구간으로 조성된다. 통일전망대에서 금강산전망대까지 왕복구간을 차량으로 이동하는 별도 코스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고성 지역 둘레길 방문신청은 행안부 DMZ통합정보시스템인 ‘디엠지기’, 한국관광공사 걷기여행 누리집 ‘두루누비’를 통해 오는 11일부터 온라인으로 한다.
두 번째 철원 지역은 백마고지 전적비에서 시작해 DMZ 남측 철책길을 따라 공동유해발굴현장과 인접한 화살머리고지 비상주 GP까지 방문하는 구간으로 만들어진다. 세 번째 파주 지역은 임진각에서 시작해 도라산전망대를 둘러보고 이후 철거한 GP 현장까지 방문하는 구간이다. 상설 운영 시기는 시범운영 결과를 평가한 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들 지역에 별도 전문 해설사를 투입할 계획이다. 자연과 역사, 문화자원을 토대로 스토리도 발굴한다. 장기적으로는 한반도를 동서로 횡단하는 ‘탐방길 연결 사업’과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사업’과도 연계된다. 방문객들은 우리 군의 경호를 받게 된다.
하지만 이 지역을 민간에 개방하면 생태계 파괴가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환경단체인 녹색연합은 성명을 내고 “DMZ는 국제적 생태보고이자 백두대간과 더불어 한반도 생태축”이라며 “생태계 보전 장치는 전무한 현실에서 DMZ 개방은 생태계 훼손과 난개발로 이어질 것이 자명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기존 사용 중인 도로와 철책길을 있는 그대로 활용하고, 인위적 개발을 최소화한다는 설명이다. 또 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완조치를 실시하고 주기적 환경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운영은 파주시와 철원군, 고성군 등 3개 지방자치단체와 한국관광공사가 공동으로 맡게 되고 길 명칭은 이달 중 대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된다. 김현기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DMZ의 지리적 특수성과 평화염원 메시지가 함축적으로 표현된 명칭으로 정할 것”이라며 “평화둘레길을 걷는 체험은 평화와 안보의 현주소를 체감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