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박준성] 대·중소기업 에너지효율 협력 절실하다

입력 2019-04-04 03:59

국내 산업은 대부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관계로 되어 있는 구조로, 어느 한쪽의 노력만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대기업은 배출권거래제 도입 이후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배출 할당량을 달성하는 데 많은 애로를 겪고 있다. 지속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상황이라 늘어나는 생산량 대비 배출량을 줄이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대기업은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협력사의 효율 개선을 지원하여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하는 형태의 대·중소기업 협력이 절실하다. 중소기업들은 인력·자금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체적인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지원을 통해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면 중소기업의 에너지 관리체계 구축 및 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에너지 온실가스 분야에 특화된 협력 방안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대안이 없는 건 아니다. 에너지공단의 대·중소 협력 사업이다. ‘대·중소기업 동반녹색성장사업’과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시설투자 지원을 하고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하는 ‘그린크레디트사업’이 대표적이다. 에너지공단의 대·중소 협력 사업을 잘 활용한다면 대기업은 협력사와 상생협력 관계를 구축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 확보로 부담도 일부 완화할 수 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협력관계 강화는 물론 에너지 사용량 및 생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LG화학도 이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원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올해는 신재생에너지 투자비 지원 등 아이템을 다양화하고 지원 규모도 확대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를 37%까지 감축하는 목표를 수립하고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정부는 국가에너지효율전략(KIEE)을 마련 중이며 산업 부문의 에너지 감축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에너지 온실가스 부문의 대·중소기업 간 에너지 협력 사업을 더욱 활성화해 대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완화하고 중소기업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함께 도모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박준성 LG화학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