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의정부시가 장암동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을 자일동 환경자원센터로 이전시키려는 계획을 세워 인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양주와 포천 시민들까지 반대 목소리에 가세하고 있다.
2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시는 2001년 11월 장암동 1만8872㎡ 부지에 430억원의 예산을 들여 하루 200t을 처리할 수 있는 자원회수시설을 설치했다. 이 시설은 준공 후 현재까지 100만t 이상의 쓰레기를 처리했다.
하지만 민락·고산지구 등 도시개발로 인구가 유입되고 폐기물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기존 시설만으로는 이를 처리하기가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 시는 지금도 35t가량의 가연성 폐기물을 수도권매립장 등 외부로 반출해 처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원회수시설이 내구 연한인 15년을 초과하자 시는 현대화사업에 나섰다. 시는 지난해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 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 부지를 내정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인근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설립해 자원회수시설 건축 반대운동을 추진 중이다.
시는 지난달 29일 의정부 자일동을 시작으로 영향권 5㎞에 속하는 지역인 남양주 별내, 포천 소흘읍, 양주 2동 등에서 주민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의정부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는 대책위원회 등 주민 150여명이 참여해 반대 목소리를 냈다.
주민들은 설명회에서 “기존 환경자원센터에서 발생하는 악취도 심각한데 혐오시설을 모두 자일동에 설치하고 있다”며 주민 동의없이 부지를 정했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기존 자원회수시설이 설치된 장암동은 바람이 산으로 불어 주민들의 피해가 적었다”며 “기존 부지에 새롭게 조성하라”고 주장했다.
양주시와 포천시 주민들도 반대 여론에 합세하고 있다. 양주시에선 고읍과 옥정 주민들을 중심으로 의정부시와 양주시 등에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1일 1민원 제기하기 운동이 퍼지는 등 활동이 활발하다.
포천시도 석탄발전소 운영 등과 맞물리면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됐다. 포천시 소흘읍에선 주민들이 대책위원회를 조직해 단체 행동까지 준비 중이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5년 내에 소각장을 건설하지 않으면 의정부시엔 쓰레기 대란이 발생한다”며 “이 시기를 맞출 수 있는 곳은 현실적으로 자일동밖에 없다. 매우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남양주나 포천, 양주의 반대 여론도 알고 있지만 어쩔 수 없다”며 “모든 주민설명회를 마친 후 아파트 단지를 가가호호 찾아 주민들을 설득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