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광역시 한 곳이 국제(글로벌)관광도시로, 기초지방자치단체 4곳이 관광거점도시로 선정·육성된다. 또 K팝을 포함한 한류와 비무장지대(DMZ)가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된다.
정부는 2일 인천 송도 ‘경원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확대 국가관광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대한민국 관광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관광산업 일자리 96만명을 이룬다는 목표다.
관광 혁신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서울, 제주에 이어 외국인 관광객의 접근성 등 세계적 관광도시로의 잠재력을 보유한 광역시를 ‘제3의 국제관광도시’로 선정해 전략적·집중적으로 홍보 마케팅 및 도시 브랜드 관리를 지원한다.
또 일정 수준의 기반시설(인프라)과 관광 매력을 갖춘 기초지자체를 ‘관광거점도시’로 선정해 범부처적 협력을 통해 관광 기반시설, 콘텐츠 발굴, 마케팅 등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 지역 관광의 중심지(허브)로 육성한다.
이와 함께 최근 급증하는 개별 관광객의 비자 발급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해 지금까지 4개 지역만 허용했던 중국의 복수비자 발급을 소득 수준 상위 13개 지역으로 확대하고, 동남아 3개국(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단체 전자비자 제도 도입 및 인도 단체비자 제도를 도입한다.
특히 방탄소년단(BTS)과 남북 정상회담 등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K팝, DMZ를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한다. 민통선 이북 지역 일부와 철거 감시초소(GP)를 잇는 ‘평화의 길 10선’을 올 상반기 중 조성해 3개 구간을 시범 운영하고 평화관광 테마열차도 추진한다. 한류와 관련해서는 내년부터 대규모 K팝 축제를 매년 2회 정기적으로 연다.
아울러 오는 8월 제주에서 ‘한국형 마스’(MaaS·관광객 관점에서 교통수단을 조회·예약 종합 지원)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스마트헬프데스크’와 공공 와이파이 확충을 통해 관광 환경을 개선한다.
해양레저관광 거점, 마리나, 해양치유 시설 등을 연결하는 전국 일주 바닷길인 K오션루트를 개발하고 크루즈 관광과 섬 관광도 활성화한다.
남호철 여행전문기자 hc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