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 통합이전 비용 8조원대 합의… 사업 속도 낼 듯

입력 2019-04-02 18:21
권영진 대구시장(사진 오른쪽)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일 오전 대구시청 기자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통해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올해 안에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뉴시스

대구·경북과 국방부가 대구공항 통합이전 사업비 규모에 합의함에 따라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일 대구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무조정실장 주재 관계기관 회의에서 국방부와 대구시의 이견을 조정했고 관련 절차를 ‘기부 대 양여’ 방식에 따라 속도감 있게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3월 국방부가 ‘군위 우보’와 ‘의성 비안·군위 소보’ 등 2곳을 대구공항 통합이전 후보지로 선정한 후 이전 사업비 이견으로 1년간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했다. 대구시는 이전 사업비를 산정하기 전에 최종 부지를 먼저 결정해 달라는 입장이었고 국방부는 개괄적이라도 사업비 산정을 먼저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최근 국무조정실 주재 회의에서 이전 부지 선정 전 개략적인 사업비 산출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해 이전 사업비와 기존 부지(대구·군공항터) 가치를 다시 산출했다. 국방부는 건물 고층화 등 시설배치의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이전 사업비 절감방안을 제시했고 대구시는 제시된 절감방안에 따라 이전사업비 산출과 기존 부지 가치를 상향하는 등 사업성 확보에 주력했다. 대구·경북과 국방부가 합의한 이전 사업비는 8조~8조2000억원이며 기존 부지 가치는 9조~9조2000억원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략적인 사업비 규모가 정해진 만큼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기존 부지 활용방안과 이전 주변지역 지원방안 마련, 주민 공청회, 이전 후보지 2곳에 대한 주민투표 등의 절차를 거쳐 연말까지 최종 이전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경북은 대구공항 통합이전 부지가 최종 결정되면 기존 부지의 개발계획, 이전 주변지역 발전계획, 새 공항을 중심으로 한 광역교통망 구축계획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공항 기존 부지를 수변도시, 스마트시티 등으로 조성해 대구의 랜드마크로 만들 방침이다.

큰 장애물을 넘었지만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도 남아있다. 부산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움직임이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고 지역 내 대구공항 존치 목소리도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권영진 대구시장은 “영남권 신공항의 대안으로 김해공항 확장이 결정됐고 이는 영남지역 5개 지자체 합의 사안으로 5개 단체장 합의 없이 변경이 불가능하다”며 “군공항만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반대 목소리를 내는 시민들을 이해시키고 설득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