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경제활동인구 조사의 연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이후 처음으로 꺾였다고 2일 밝혔다. 특히 40, 50대와 고졸 학력 고용률이 크게 줄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전체 고용률은 60.7%로 전년 대비 0.1% 포인트 감소했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의 비율을 뜻하는 지표로, 실업률과 달리 취업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도 포함해 집계된다.
인구 증가 대비 취업자 증가로 보면 2018년 취업자는 생산가능인구 증가분 25만2000명의 38.5% 수준인 9만7000명 증가에 그쳤다. 이는 2010년 이후 최저 63.1%에서 최고 121.8%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으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추세를 고려해도 작년의 취업자 수가 이례적이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경제활동인구의 허리에 해당하는 40대와 50대 고용률은 지난해 각각 0.4% 포인트와 0.1% 포인트 감소했다. 모든 연령에서 고용률이 줄었던 2003년과 2009년을 제외하고 40대와 50대 고용률이 동시에 감소한 것은 2018년이 처음이다.
고졸 학력 인구의 고용률은 62.1%로 0.7% 포인트 하락했다. 고졸 인구는 6만4000명 줄어든 데 반해 취업자 수는 3배 수준인 16만7000명 줄어든 결과다. 고졸 학력 취업률은 2013년 이후 가장 낮았다. 한경연은 중졸 이하 인구의 고용률도 2010년 39.7%에서 2018년 36.8%로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3년 3.1%까지 떨어졌던 실업률은 2010년 이후 최고인 3.8%까지 증가했다. 실업자 수 또한 107만3000명으로 100만명을 넘었다.
김준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