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 유네스코 인증 신청키로

입력 2019-04-02 20:41
성매매집결지에서 문화예술마을로 변신중인 전북 전주시 서노송예술촌이 유네스코 인증 도전에 나선다. 하지만 아직도 성매매업소 20여곳이 영업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국제기구 인증에 나선다는 점을 들어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주시는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19년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공식 프로젝트 인증제에 12일까지 공모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이 인증제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교육적 헌신과 노력을 예우하고 지원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다.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는 성매매업소가 몰려 있는 선미촌의 문화재생사업을 뼈대로 한다. 전주시는 2017년부터 74억원을 들여 2020년까지 서노송동 일대(11만㎡)에서 선미촌을 포함한 골목경관 정비, 도로 정비, 커뮤니티 공간과 문화예술복합공간 조성, 주민공동체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성매매집결지 정비가 주로 공권력을 동원해 강제로 행해져왔던 것과는 달리 전주시는 시민단체와 힘을 모아 문화예술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사업을 펼쳐왔다. 이를 통해 성매매업소가 2014년 49곳(88명)에서 지난해 말 현재 21곳(30명)으로 줄었다.

시 관계자는 “이 프로젝트가 선미촌의 점진적 개발을 통해 문화재생을 이끌어 내고 있다”면서 “인증을 신청하는 것만으로도 전주를 세계에 알릴 수 있다는 기회를 만들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가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 건 사실이지만 성매매업소가 여전히 영업을 하는 상황에서 국제 인증을 추진하면 향후 논란만 커질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