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 차량 붐비는 곳에 드랍존 만든다

입력 2019-04-01 21:30
서울시 교통안전지도사가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초등학생들을 하교시키고 있다. 지난해 229개교 491명이었던 서울시 교통안전지도사는 올해 234개교 538명으로 늘어난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를 없애기 위해 예산을 지난해보다 2배로 늘린다. 주차된 차량이 아이들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막기 위해 보호구역 내 주차장은 이전 추진하고 학원차량으로 북적대는 곳에는 ‘드랍존’을 설치해 사고 예방에 나선다.

서울시는 올해 어린이보호구역 사업예산을 지난해(약 58억원) 대비 2배 수준인 119억원으로 늘려 시설 정비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기존에는 자치구가 요청하면 이를 적용하던 방식이었지만 하반기 개선공사를 진행하는 38곳의 어린이보호구역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일괄설계 방식을 최초로 적용한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보호구역 내 발생한 사고 원인을 분석해 진단을 내리게 된다.

서울시가 집계한 경찰청의 서울지역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2016년 96건에서 2017년 81건, 지난해 77건으로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사망자 수는 2014년 이후 매년 1명(2016년 2명)씩 발생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사고 유형을 분석해보면 전체 81건 중 아이들이 길을 건너다 사고를 당하는 경우(45건)가 가장 많았다. 서울시는 2015년 1704곳, 2016년 1730곳, 2017년 1733곳, 지난해 1730곳의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해오고 있다.

시는 사고건수 ‘0(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진입부에 발광형 태양광 LED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횡단보도 대기공간을 노란색으로 칠해 아이들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시설물을 보강한다. 학부모나 학원차량으로 늘 북적이는 학교 정문이나 후문에는 ‘드랍존(Drop Zone)’을 설치하거나 불법 주정차 단속 CCTV를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아이들이 다닐 수 있는 안전한 보행로도 확대한다. 도로가 좁아 보도설치가 어려웠던 7개 통학로 7곳은 학교 담장을 안쪽으로 옮겨 보행로를 새롭게 낸다. 또 어린이보호구역 내 노상주차장이 있는 경우에는 이전을 추진한다. 주차된 차량이 아이들을 가려 안전사고를 유발한다는 지적에서다. 서울시는 현장여건을 전수조사해 자치구와 인근 부지 활용 개선방안을 마련해 정비해나갈 예정이다.

등하굣길 아이들을 인솔하는 교통안전지도사도 늘린다. 지난해 229개교 491명이었던 교통안전지도사는 올해 234개교 538명으로 늘어난다. 고홍석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 제로를 목표로 관계기관과 협력해 더욱 안전한 통학로를 조성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