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일 시민사회단체 대표자들과 만나 “보수나 진보 등 이념은 정말 필요 없는 시대가 됐다. 국가 발전을 위한 실용적 사고가 필요하다”며 “우리는 보수이기 때문에 정부와 멀다든지 하는 생각을 하지 말아 달라. 우리는 파트너”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시민사회단체 초청 간담회를 주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참여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 진보성향 단체는 물론 범시민사회단체연합(범사련), 환경과 사람들, 여성단체협의회 등 보수성향 단체 70여곳이 초청됐다. 현 정부 들어 보수단체까지 초청해 간담회를 연 것은 처음이다.
간담회에선 시민사회단체의 가감 없는 지적과 건의가 이어졌다. 이갑산 범사련 상임공동대표는 간담회 말미에 “최근 청문회 이슈를 보면 청와대가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촛불정권이라고 하는데 정부는 촛불에 타버릴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대통령께서 다름을 인정해야 사회적 대화를 통한 합의와 국민통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기범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회장은 “대북지원 민간정책협의회의 복원과 인도적 지원 제재 면제 승인 태스크포스(TF) 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명호 생태지평연구소 부소장의 정부 차원의 비무장지대(DMZ) 보존 정책 마련 제안에 대해 “DMZ 활용을 이야기하는 것은 이르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DMZ에 평화생태공원을 조성하든지, 국제평화기구를 유치할 때 생태 보존 역시 걱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DMZ 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남북 관계가 충분히 개선돼야 한다는 점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소득주도성장의 성공에 대해서는 “선을 긋듯이 말을 할 수는 없을지도 모르겠다”고 인정했다. 고용 노동자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진 것은 성과지만, 일자리 증가세가 둔화된 것도 사실이라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노동자의 소득을 올려주는 것과 함께 노동에서 밀려나는 분들이 없도록 하겠다”며 “소득의 양극화가 해소되도록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