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평화의 물길 되돌리려는 시도 있다”

입력 2019-04-02 04:02

문재인(얼굴) 대통령이 ‘하노이 노딜’ 이후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 한·미 내부의 대북 강경파를 겨냥해 “참으로 무책임하다”며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오는 11일 한·미 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없는 길이면 만들어 함께 나가겠다. 북한도 호응해 오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1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일부에서는 한·미동맹 공조의 틈을 벌리고 한반도 평화의 물길을 되돌리려는 시도가 있다”며 “남·북·미의 대화 노력 자체를 못마땅하게 여기고, 갈등과 대결의 과거로 돌아가고자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화가 시작되기 이전의 긴박했던 위기 상황을 떠올려본다면 참으로 무책임한 일”이라며 “지금 대화가 실패로 끝난다면 상황은 더욱 나빠질 것이다. 국익과 한반도의 미래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2월 평창 동계올림픽 전까지 북·미 관계는 악화일로였다. 당시 미 행정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시설 선제타격 가능성을 공공연하게 거론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한·미 내부의 대북 강경 주문이 많아짐에 따라 당시 상황으로 되돌아갈 수 있음을 우려한 것이다. 국내 보수 진영에서는 물론 미 국무부, 재무부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도 대북 강경파의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의 합의 불발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에 일시적 어려움이 조성됐지만 남·북·미 모두 과거로 돌아가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확인되고 있다”며 “특히 북·미는 과거처럼 긴장이 높아지지 않도록 상황을 관리함으로써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대화의 동력을 빠른 시일 내에 되살리기 위한 한·미 간의 노력으로 이뤄지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미의 노력에 북한도 호응해 오기를 기대한다”며 “우리는 결코 과거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고, 돌아갈 수도 없다. 막힌 길이면 뚫고, 없는 길이면 만들며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북한을 견인하기 위한 조치는 협상 전략이어서 밝히기 어렵다”며 “여러 가지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청와대는 오는 11월 25~26일 부산에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키로 확정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초청 작업에 돌입했다. 윤 수석은 “아세안 국가들과 김 위원장 초청 문제를 협의한 뒤 북한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