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겪은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무분별한 플라스틱 제품 사용에 관한 경각심을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재활용 쓰레기 대란 1주년을 맞아 지난 25~28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87.5%가 정부가 대체품이 있는 일회용품 퇴출 이행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60.4%는 환경부가 ‘잘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그린피스는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계기로 국민의 관련 문제 인식 수준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응답자의 57.1%는 ‘지난 1년 동안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였다’고 답했다. 95.0% 이상의 응답자가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나 플라스틱 쓰레기 필리핀 불법 수출 등 최근 사건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을 향한 규제 요구도 높았다. 응답자의 92.3%는 정부가 기업의 플라스틱 사용을 엄격하게 규제해야 한다고 답했다. 91.7%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업체 대신 제품 재사용 업체를 이용하겠다고 했다.
재활용 쓰레기 대란은 지난해 초 중국 정부가 폐자원 수입을 금지하면서 촉발됐다. 폐자원 가격이 급락하면서 지난해 4월 수도권의 재활용 수거·선별업체들이 수거를 거부했다. 결국 정부가 업체와 협의해 사태를 수습했다.
그린피스의 김미경 플라스틱 캠페인 팀장은 “이제 국민의 높은 인식 수준에 걸맞은 대책이 나와야 할 때”라며 “정부 규제나 기업 비즈니스 변화 등으로 불필요한 플라스틱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