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화폐’가 도내 31개 시·군에서 1일부터 발행됐다. 경기지역화폐는 이재명 도지사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일종의 대안화폐 제도다. 도는 올해 경기지역화폐 발행규모가 정책자금 3582억원과 일반 발행 1379억원을 포함해 총 4961억원이라고 이날 밝혔다.
정책자금 3582억원 가운데 1752억원은 청년기본소득(도내 거주 만 24세 청년 17만명·분기별 25만원)이고, 423억원은 공공산후조리비(출생아 8만4600명 기준·가정당 산후조리비 50만원)다.
도는 앞서 지난해 11월 ‘경기도 지역화폐의 보급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공포해 법률적 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지역화폐 발행권자는 31개 시장·군수이며, 화폐를 발행한 해당 시·군 지역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각 시·군은 지역 실정에 맞게 지류형, 카드형, 모바일형 중 원하는 형태를 선택해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도는 발행 형태와 무관하게 발행비, 할인료, 플랫폼 이용료 등에 소요되는 예산을 시·군에 보조한다.
도는 2022년까지 총 1조5905억원의 경기지역화폐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8852억원은 청년기본소득·공공산후조리비 등 지역경제와 복지를 아우르는 민선7기 주요정책 사업으로 활용하고, 7053억원은 시·군 자체 사업에 쓰일 예정이다.
이 지사는 “경제 모세혈관에 해당하는 각 지역이 살아나야 한다. 경기지역화폐가 침체된 지역경제를 되살리고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역화폐는 특정 소수가 아닌 다수가 함께 사는 공동체 경제, 합리적 경제구조를 만드는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지역화폐 31개 시·군서 발행
입력 2019-04-01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