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상부 복개(覆蓋)와 수질오염으로 몸살을 앓는 ‘부산의 청계천’ 동천(사진)에 바닷물을 방류하는 복원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부산시는 동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 275억원을 들여 바닷물 20만t을 매일 방류하는 사업을 연말까지 진행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시는 동천에 대형 관을 묻어 바닷물을 하천 중류로 끌어올린 후 범4호교와 광무교 일원에 3대 방류 지점을 정해 각각 6만~7만t씩 하루 20여만t의 바닷물을 분산 방류할 예정이다. 부산진구 개금동~서면 부전동~동구 범일동을 지나 부산항 북항으로 흐르는 동천은 총연장 4.85㎞에 2.8㎞는 복개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사업에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끌어오는 바닷물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수치가 방류 이후에도 높아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느냐가 수질 개선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비점오염 등이 해소되지 않으면 동천에서 연안으로 흘러나온 더러운 물을 다시 동천으로 끌어올리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시는 계속된 동천 정비에도 수질 및 환경 개선이 미흡하고, 악취 민원이 끊이지 않자 2015년부터 ‘동천 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미복개 구간에 ‘해수 도수 펌프장’을 설치하는 게 프로젝트의 핵심이었다. 2017년 6월부터 공사가 시작돼 올 연말 완공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최근 동천이 환경부로부터 ‘통합·집중형 오염지류 지원대상 하천’에 선정돼 국비 300억원이 지원된다”며 “2024년까지 수질을 2등급 수준까지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