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사회서비스원 출범… 市 복지정책 시험대 올라

입력 2019-04-01 19:01

대구시 복지정책이 새 시험대에 올랐다. 시가 직접 설립한 ‘대구시사회서비스원’(이하 사회서비스원)이 1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하면서 지역 복지환경에 변화를 불러올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에 따르면 사회서비스원은 정부의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사업으로 더 나은 복지행정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사회서비스공단을 설립해 국·공립 복지시설을 직영하는 것이다. 시는 1년 6개월여에 걸친 설립절차를 모두 마무리하고 운영에 돌입했다. 대구시립희망원 내 3개 시설(희망원·보석마을·아름마을)과 대구시청어린이집, 대구육아종합지원센터 등 5개 시설을 직영하게 된다.

사회서비스원이 관심을 모으는 이유는 앞서 대구에서 발생한 복지시설 비위·인권유린 문제 때문이다. 대구시립희망원에서 발생한 비자금 조성 등의 비위와 감금 등의 인권유린 등이 문제가 돼 운영 재단이 교체 됐지만 다시 시민단체 등에 의해 부실 운영 주장이 제기됐고 이에 재단이 수탁권을 반납하는 상황이 펼쳐졌다. 이에 대구시가 직영화 여론을 수용해 사회서비스원을 운영하게 되면서 지역 복지환경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하는 책임을 지게 됐다.

사회서비스원은 1단계로 김영화 경북대 교수를 대표이사로 선정하고 필수인력 8명(본부팀장 3명, 직영시설장 5명)을 채용해 개원했다. 2단계로 21명(본부직원 16명, 직영시설 5명)을 추가 채용할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사회서비스 공공성과 사회서비스 일자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사회서비스원을 설립하게 됐다”며 “사회서비스원 운영이 지역 공공복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