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서부산개발 프로젝트 가운데 ‘한·일해저터널’ 사업을 중단하는 등 ‘부산대개조’ 사업의 대수술에 나섰다. 시는 ‘부산대개조’ 사업의 서부산권 개발 프로젝트 51개 가운데 한·일해저터널 등 14개 사업을 중단한다고 31일 밝혔다.
시가 중단을 선언한 사업은 한·일해저터널과 가덕도 종합개발, 항공클러스터 조성, 강변 창조도시 조성 등이다. 시가 이들 사업의 중단을 결정한 배경에는 동남권 관문공항의 가덕도 건설에 대한 열망이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시는 시민단체, 상공인 등과 함께 김해신공항을 반대하고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에 전 행정력을 쏟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부산시 등은 동남권 관문공항의 입지를 공식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가덕도 종합개발과 항공클러스터 조성, 한·일해저터널 등은 가덕도 신공항 건설과 중복되거나 초점이 맞지 않는 사업들이어서 자칫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시민 공감대와 기대 효과가 높지 않아 논란이 있는 대형 프로젝트들을 중단 사업으로 확정했다”고 말했다.
한·일해저터널의 경우 2003년부터 민간단체 등에서 추진해 거제도 동부와 대마도 남부를 잇는 노선 등 3개 방안이 검토되기도 했다. 이들 단체는 2030년 한·일해저터널이 개통될 경우 연간 2조원대 수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검증이 되지 않으면서 반대의 목소리도 높았다.
실제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지난해 한 포럼에서 “한·일 해저터널이 생기면 경제적·지리학적 이점을 빼앗겨 부산항은 망하게 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시는 나머지 24개 사업은 현행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부산 신항건설과 광역·동서 교통망구축, 부산도서관 건립, 낙동강 하굿둑 개방 등이다. 이와 함께 시는 김해신공항 등 13개 사업은 여건변화로 계획을 수정해 추진하기로 했다.
김광회 시 도시균형재생국장은 “조만간 동남권 관문공항 등 서부산지역의 현안 추진상황과 이와 연계한 부산대개조 비전을 시민들에게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