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죄폐지반대국민연합 등 48개 단체는 30일 서울 광화문역 앞에서 낙태반대국민대회를 개최하고 헌법재판소에서 낙태죄 합헌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산부인과 의사인 차희제 프로라이프의사회장은 “나도 한때는 낙태 시술을 했는데 유산한 아이를 꺼내는 수술과 살아 있는 아이를 꺼내는 수술은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죽은 아이는 바깥으로 자동으로 나오지만 살아 있는 아기는 엄마가 끝까지 잡고 있으려 했다. 그것은 인간의 본능이자 모성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자궁 속에서 잘 자라는 아이를 강제로 없애는 낙태수술이 신체적·정신적 후유증을 가져온다는 것은 수술을 찬성하는 의사들도 인정하는 사실”이라면서 “그런데도 낙태 옹호론자들은 낙태가 마치 대수롭지 않은 수술인 양, 정의로운 선택인 양 인권을 앞세워 기만적 선동으로 젊은이들을 현혹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차 회장은 대안으로 산부인과 의사들의 양심적 진료와 산부인과 의료수가 인상, 미혼모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정책을 제시했다. 그는 “낙태 시술에 금전적 이득이 없었다면 지금처럼 낙태가 만연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산부인과 의료수가를 대폭 인상해 잘못된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사회가 낙태죄 폐지보다 먼저 논의할 것은 임신에 책임이 있는 남성에게 법적으로 강력한 책임을 묻는 것”이라면서 “미혼모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원 정책을 충분히 만들어 놓은 뒤 낙태죄 폐지 논의를 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했다.
경희대생 홍은샘(22·여)씨는 “인간의 생명은 고귀하고 존엄하므로 생명권을 지닌 태아도 헌법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면서 “이렇게 중요한 생명권이 헌재 판결에 따라 어느 때는 인정받고 어느 때는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홍씨는 “헌재는 낙태죄 합헌결정을 내려야 하며 정부는 생명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 48개 단체는 3일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명지를 제출한다. 프로라이프의사회도 오는 6일 서울 광화문 북측광장을 출발해 헌재까지 4.3㎞ 구간을 걷는 생명대행진을 펼친다.
글·사진=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