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2기 내각 장관 후보자 7명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끝났지만 후보자 자질 논란이 확산되며 후폭풍이 거세다. 야당은 28일 “7명 후보자 모두가 부적격이기 때문에 전원 지명 철회하라”며 청와대를 압박했다.
자유한국당은 청와대 인사 라인의 책임부터 물었다. 황교안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런 부적격자 7명을 체크했다고 주장하는 청와대 검증 라인을 교체해야 한다”며 “장관들을 막무가내로 임명한다면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당은 특히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와 김연철 통일부 장관 후보자를 콕 집어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국회 본회의 직전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번 개각은 참사다. 박 후보자와 김 후보자에 대해서는 사퇴를 요구하기로 결정했다”며 “나머지 후보들 역시 부적격해 몇 명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채택할지는 다시 논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나 원내대표는 박 후보자에 대해 “‘위선 영선’으로 이름 붙이기로 했다. 청문회에서 각종 질문에 얼토당토않은 궤변으로 빠져나갔고, 필요한 증거를 하나도 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박 후보자를 형사 고발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에 대해서는 “최근까지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을 ‘판문점 나무 자르기 사건’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등 대북관에 문제가 있다”며 “양도세 탈루와 차명거래 의혹 같은 도덕성 문제까지 겹쳐 사퇴를 요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바른미래당도 의원총회를 거쳐 박 후보자와 김 후보자의 자진 사퇴나 청와대의 임명 철회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김수민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 직후 “후보자 7명 전원이 부적격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그 어느 청문회보다 ‘과오풍년’ ‘송구풍년’이었다는 점이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김정화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인사검증 부실, 조국(曺國)을 버려야 조국(祖國)이 산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에서는 국회 인사청문회 법률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원내정책회의에서 “자격 부실 장관 후보자에 대해 국회의 비토권을 강화해 청와대의 부실 검증과 대통령의 일방통행을 방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범여권인 정의당에서도 일부 장관 후보자들의 자질을 꼬집는 목소리가 나왔다. 윤소하 원내대표는 상무위원회의에서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등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것이야말로 정권의 도덕성에 흠결을 드리우는 일”이라며 “청와대의 경각심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인사청문회를 오로지 정쟁과 국정 발목잡기로 악용하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며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촉구했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정책조정회의에서 “정책 검증은 없고 흥신소 청문회만 있었다”며 “검증이라는 명목 아래 비방과 신상털기만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이형민 심우삼 기자 gilels@kmib.co.kr